돈 되는 기술 `BT` 산학연 연계, 민간투자 육성 중요해

국내 생명공학기술(BT) 환경에 산업역량이 더해지지 않고서는 바이오경제 구현이 어렵다는 의견이 나왔다. 저조한 민간투자 규모 확대도 바이오경제 활성화의 필수조건으로 지목됐다.

홍남기 미래부 차관이 학술대회에 앞서 축사를 건네고 있다.
홍남기 미래부 차관이 학술대회에 앞서 축사를 건네고 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13일 서울 그랜드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개최한 `한국바이오경제학회 추계학술대회` 주제발표에서 정인석 한국외대 경제학과 교수는 “바이오기술·산업계가 과거 기술만 만들던 시절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인석 한국외대 경제학과 교수
정인석 한국외대 경제학과 교수

정 교수는 “지금까지는 기술만 좋으면 모든 것이 해결된다는 식의 생각이 지금까지 바이오산업 부진의 원인”이라며 산학연 융합구조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융합 구조 구심점으로 지목됐다. 그는 “기업도 교수도 계통 전체를 끌고 갈 수는 없다”면서 “생명연이 산·학·연의 중간지대 역할을 도맡아 연구·산업 영역을 연결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BT 민간R&D투자 확대 없이 바이오경제 융성은 불가능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지난달 현대경제연구원 발표에 따르면 2014년 국내 바이오 R&D 규모는 4조8000억원, IT 21조9000억원의 약 22% 수준이다. BT R&D 정부투자 비중은 60% 수준이다.

이진규 미래창조과학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인풋(input) 없이 아웃풋(output)이 있을 수는 없다. 공공투자보다 적은 BT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한 각종 정책을 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학술대회에서는 바이오 경제 구현을 위한 방안으로 산학연 융합구조 필요성이 중점 거론됐다.
이날 학술대회에서는 바이오 경제 구현을 위한 방안으로 산학연 융합구조 필요성이 중점 거론됐다.

이정일 아리바이오 대표는 “스타트업·창조 아이디어 기업이 `제1 생태계`가 돼 전체 산업계 선순환 구조의 밑거름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정보통신기술(ICT)과의 이종융합, 개인맞춤형 의료서비스 등 신기술 구현도 주요 사항으로 꼽혔다.

장규태 생명연 원장은 “BT가 본격적인 성과를 창출해야 할 시점이 왔다. 각 분야 전문가가 소통해 바이오혁신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학술대회는 한국바이오경제학회 창립총회와 겸해 열렸다. 학회는 BT, 경제, 경영, 정책 등 전문가들이 모인 산학연 연구커뮤니티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