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거듭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제주도를 찾은 관광객 수는 갑절 가까이 늘었고, 육지에서 제주도로 이주하는 유입 인구가 올해 2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유입 인구 증가는 교통 혼잡, 환경 훼손 등 문제를 제주도에 던진다. 제주도는 새로운 인프라 건설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싱가포르는 제주도의 3분의 1 정도 면적에 500만명이 넘는 인구가 대체로 쾌적하게 살고 있다. 앞으로 지혜를 모으면 제주도도 외형뿐만 아니라 내실로도 거듭날 수 있다.
제주도의 환경보호 노력 가운데 하나는 전기자동차 산업 육성이다. 엄밀하게 말하면 전기차 관련 배터리나 부품제조가 아니라 전기차를 활용한 서비스 산업이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내연기관차가 1㎞를 달리는데 150g의 탄소를 배출한다. 연간 2만㎞를 달렸을 때 차 한 대가 내뿜는 탄소는 3톤이나 된다. 제주도에 40만대 차량을 가정했을 때 교통 부문에서만 연간 탄소 120만톤이 배출된다. 제주도의 `CFI 2030(Carbon Free Island 2030)` 정책 핵심은 이런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내연기관차 모두를 전기차로 바꾸고, 여기에 필요한 전력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이 정책이 성공하면 제주공항에 내리는 방문객은 `공기가 다르다`는 청정 제주의 매력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제주도 차원의 이익도 크다. 전기차 충전요금이 계절과 시간대별로 다르기 때문에 일률 계산은 어렵지만 휘발유차 연료비의 약 20%로 전기차를 운행할 수 있다.
한 달에 연료비로 30만원 지불했다면 연간 약 300만원을 절감할 수 있다. 이는 연봉 300만원 인상과 같은 효과다.
앞으로 제주도가 해야 할 일도 많다. 첫째는 충전 인프라다. 제주도는 전기차 중장기 종합계획에 따라 2030년까지 약 14만개 충전기를 설치하고, 이 충전기에서 사용할 연간 2.1Gwh의 전력 수급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단계별로 계획돼 있다.
둘째는 이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전기차 운영 모델 마련이다. 예를 들어 전기차 렌터카는 충전 시간이 내연기관차 주유 시간보다 길다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내 몇 곳에 렌터카 차고지를 두고 거기에서 전기차를 충전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충전이 완료된 전기차로 바꿔 타는 서비스 모델을 기획하고 있다.
최근에는 해결책을 내놓은 사례도 있다. 이것은 공통주택 충전 인프라 구축 문제다. 지금까지는 공동주택 거주자들이 입주자대표회의 등 충전기 설치 동의서가 있어야 전기차 구매 신청을 할 수 있었지만 앞으로는 동의서 없이도 구매 신청을 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했다. 공통주택 특성에 따라 충전기를 공유하는 분산형, 마스터·슬레이브형 등 충전 인프라도 계획하고 있다. 신규 공동주택, 근린생활시설, 숙박시설, 관광시설 등에 일정 규모 이상 충전기를 설치하도록 하는 의무 제도도 연내에 개선된다.
문제 해결 자체가 새로운 산업이 되기도 한다. 전기차 배터리는 신차 배터리 충전율의 70% 정도 떨어지면 폐배터리로 취급되는데 제주에서 가장 먼저 이런 폐배터리가 나오게 된다. 폐배터리를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으로 재활용하는 사업도 내년에 제주에서 추진된다.
올해 9월 1일 기준으로 전국 전기차 7677대의 44%인 3385대가 제주도에서 운행되고 있고, 전국 충전기 5752대의 47%인 2723기가 제주도에 있다. 제주도 면적이 전국의 1%라는 점을 감안하면 굉장한 집적도다.
연 1300만명의 제주도 방문객이 거의 차 없이 온다는 점을 감안하면 제주도는 전기택시, 전기차 렌터카, 전기버스 등 전기차 서비스 사업의 최적지다. 앞으로 제주도에는 다양한 전기차 모델이 발굴되고 등장할 것이다. 이런 다양한 전기차를 체험하며 즐기는 섬, 제주를 위해 오늘도 제주도는 한 걸음씩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
박경린 제주대 교수(제주 전기차활성화위원회 위원장) glpark@jeju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