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범사업 이후 현실에 맞는 사업 계획을 다시 수립하기 위해 구성된 재난망 검증협의회는 약 3개월 동안 활동하면서 총 사업비 도출, 커버리지 확보 방안 등을 마련했다.
새로운 계획이 전부 공개되진 않았지만 총사업비는 1조9000억원 안팎으로 예상된다.
당초 예산안 1조8000억원(부가세 포함)보다 1000억원 늘었다. 협의회는 예산 증가를 막으면서 문제가 되는 커버리지 확대를 위해 다양한 방식을 고민했다.
협의회 관계자는 26일 “ISP 때 예상한 커버리지보다 시범사업에서 측정한 실제 커버리지가 적게 나와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했다”면서 “예산만 충분하다면 커버리지는 문제가 아니지만 그렇지 않기 때문에 음영 지역을 해소할 방법을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협의회가 도출한 전략은 `올4원(ALL-4-ONE)`이다. 4가지 통신 방식과 솔루션으로 대한민국 모든 지역을 커버하되 하나의 통합된 관리·인프라 체계를 갖추자는 게 핵심이다.
주요 기반시설과 도로, 인구밀집 지역은 자가망으로 구축하는 고정 기지국을 사용한다. 농어촌과 건물 실내는 상용망, 사람 접근이 힘든 지역인 배낭형 기지국이나 드론 등 이동형 솔루션을 각각 쓴다. 여기에 주파수공용통신(TRS), 초단파(VHF), 극초단파(UHF), 철도망(LTE-R), 해상망(LTE-M)을 더해 100% 커버리지를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상용망이나 이동형 기지국을 음영 지역에 활용한다는 계획은 지난 2014년 정보전략계획(ISP) 당시부터 흘러나왔다. 하지만 자세한 적용 대상 지역과 방식을 확정한 것은 처음이다. 협의회는 두 달 넘게 재난 관련 기관 관계자와 대상 지역을 논의했다.
올4원 전략 평가는 엇갈린다. 통신사 관계자는 “음영 지역을 드론이나 배낭형 기지국으로 커버한다는 것이 겉으로는 그럴 듯해 보이지만 실제로 가능한지 미봉책은 아닌지 우려가 있다”면서 “공청회를 통해 전문가와 현장 실 사용자의 의견 수렴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상용망을 사용한다면 재난 발생 때 트래픽 분배 문제 등 세부 전략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협의회 관계자는 “단말이 재난망과 상용망을 오가며 무리 없이 통신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실제 현장에서 검증했다”면서 “협의회가 도출한 계획 검증이 빨리 마무리돼 조속히 본사업이 시작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안호천 통신방송 전문기자 hcan@etnews.com
-
안호천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