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전자정부서비스 인증 선택형으로…생체인증도 도입

차세대 전자정부서비스 인증 선택형으로…생체인증도 도입

차세대 전자정부 서비스에 생체인식을 포함한 선택형 인증체계가 도입된다. 기존 공개키기반구조(PKI) 인증서에서 벗어나 수요자가 안전한 인증서비스를 선택한다.

행정자치부는 31일 서울 남대문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한국지역정보개발원과 `제1회 전자정부 인증 콘퍼런스`를 열고 11월 `차세대 전자정부 인증체계 추진 계획`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최근 세계 각국은 정보통신기술(ICT) 발전에 맞춰 다양한 전자정부 서비스를 제공한다. 우리나라 역시 통합·맞춤형 서비스 원칙을 세우고 전자정부 서비스 고도화를 진행 중이다. 민원24, 국세청, 고용노동부 등을 중심으로 전자정부 서비스를 통합한다. 고용·의료·세금 분야에서 민관 연계형 서비스를 준비한다. PC에서 모바일 완결형 서비스로 전환한다.

전자정부에 신기술이 잇따라 도입되면서 본인확인과 인증 중요성이 커졌다. 서비스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간편한 인증체계가 요구된다.

기존 전자정부 서비스 인증은 PKI 중심으로 공공기관은 GPKI, 일반인은 NPKI 체계다. 사용자 본인확인에 일회용비밀번호(OTP), 전화 인증 등이 함께 쓰였다. 전자정부 서비스가 다양해지고 모바일 완결체제를 지향하면서 다양한 국민 선택형 인증수단 필요성이 제기됐다. 서비스별 인증수준을 등급화하고, 불필요한 소프트웨어(SW) 중복설치를 차단하는 환경 개선이 시급하다.

행자부는 11월 차세대 전자정부 인증체계 추진 계획을 수립한다. 지문, 홍채, 안면 등 생체인식을 인증체계에 적용한다. 사물인터넷(IoT), CCTV, 스마트시티 확산에 맞춰 전자정부 단말기 신뢰성을 높이는 사물인증관리체계를 구축한다. 서비스별로 체계적 인증관리제도를 마련한다.

지역정보화 전문기관 지역정보개발원은 연말까지 `블록체인, FIDO(생체인증표준) 등 신기술 적용사례와 전자정부 인증서비스 적용방안 연구` 과제를 수행한다. 신기술에 기반을 둔 안전한 신 인증서비스 모델 창출이 목적이다.

행자부 관계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신기술 전자정부 인증서비스 모델을 연구 중”이라면서 “공급자와 수요자가 모두 만족하는 서비스를 개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행자부는 11월 수립하는 추진계획에 맞춰 내년 1월 차세대 전자정부 인증 시범서비스를 추진한다. 이를 토대로 2020년까지 차세대 인증서비스를 단계별로 확대한다.

차세대 전자정부서비스 인증 선택형으로…생체인증도 도입

김성렬 행자부 차관은 “국민이 전자정부 서비스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하기 위해 생체인증, IoT 인증 등 신기술 인증체계 도입이 시급하다”면서 “차세대 전자정부 인증체계 추진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호준 SW/콘텐츠 전문기자 newleve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