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후체제와 에너지신산업 물결이 전통 전력 산업 탈피와 융합형 신산업 확산을 가속화할 것이다.”
내년을 전망하는 전력업계의 보편적 시각이다. 우리나라 전력 산업이 `빅뱅`을 맞았다. 2001년 전력 산업 구조 개편 이후 15년 넘게 공기업 위주로 진행된 변화가 토대부터 갈아엎어진다. 전력업계는 2017년부터 발전 부문에서는 신기후체제에 따른 에너지믹스 가속화, 판매 부문에서는 요금체제 변경을 통한 시장 구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부 차원의 전력 시장 규제 개선이 속도를 내면서 민간 기업의 참여 증가와 신규 비즈니스 창출이 속도를 내고 있다.
전체 시장 약 90%를 공기업이 전담해 온 발전 시장에서 민간 비중도 점점 커지고 있다. 특히 내년은 미세먼지 대책 관련 석탄화력 가동일 수 감소가 현실화되면서 민간발전의 선전이 기대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미 온실가스 저감과 미세먼지 감축을 위해 노후 석탄화력설비 10기 폐지 계획을 밝힌 상황이다. 이 가운데 영동 1·2호기가 내년 폐지를 앞두고 있다. 폐지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발전소들도 설비 개선을 위해 당분간 가동 정지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20년 미만 발전소는 환경설비 개선, 20년 이상 발전소는 터빈·보일러 등 주 기기를 교체해야 한다. 석탄화력의 빈자리를 다른 발전원으로 메워야 하는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민간의 가스화력과 신재생에너지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는 정부 에너지신산업 정책과 함께 사업 환경이 빠르게 좋아지고 있다. 전력망 계통 접속과 전력시장 거래 가능 신재생에너지 기준이 계속 낮아지면서 대규모 자금 동원이 어려운 민간사업자도 신재생에너지 전기 거래에 뛰어들 수 있게 됐다.
내년에 공개될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이 같은 발전 시장의 트렌드를 담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지난해 7차 계획에서 4기의 예비 석탄화력 계획을 취소하면서 관련 기조를 보여 줬고, 더 이상 신규 석탄화력을 건설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기 때문이다.
판매 부문에서는 전기요금 체제 개편을 위한 작업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올 여름 논란이 된 누진제는 동절기가 오기 전에 완화 안이 나올 예정이다. 이후 주택용·일반용·산업용 등 용도별 전기요금 형평성, 석유·가스 등 1차 에너지원 및 2차 에너지 전기와의 가격 차 조정이 핵심 이슈로 논의될 예정이다.
전기요금에 대한 소비자 선택권 확대도 예상된다. 지금처럼 전체 사용량에 대한 획일화된 요금제가 아니라 사용 시기와 패턴에 따라 고객들이 스스로 유리한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정부의 지능형검침인프라(AMI) 설치 작업도 속도를 낼 예정이다. AMI 기반의 스마트그리드 인프라가 갖춰지면 최근 선보이고 있는 사물인터넷(IoT) 융합 에너지절약형 기기 선호도도 높아질 전망이다.
전력 업계 관계자는 7일 “환경 쪽에서 신기후체제가 진행되는 것과 상관없이 에너지 쪽에서의 전기 사용량은 계속 늘어날 것”이라면서 “전기를 더욱 깨끗하게 생산하고 효율 높게 사용하는 능력이 곧 경쟁력이자 수익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조정형 에너지 전문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