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해외 자원 개발의 중요성 (3) 리튬 트라이앵글이 주는 교훈

강천구 영앤진회계법인 부회장
강천구 영앤진회계법인 부회장

최근 은백색의 금속, 리튬을 놓고 세계 각국이 보이지 않는 전쟁을 치르고 있다. 2차 전지 때문이다. 특히 전기자동차 산업 활성화는 2차 전지 시장에 불을 지피고 있다.

문제는 리튬이다. 전기차에는 휴대폰 배터리에 들어가는 양의 4000배에 이르는 리튬이 필요하다. 하지만 몇몇 소수의 국가에서만이 리튬을 생산할 수 있다. 부존양도 많고 경제성이 높은 육상염수(소금 호숫물)의 경우에는 남미의 아르헨티나, 칠레, 볼리비아 등 3개국에 세계 리튬 매장량의 77%에 이르는 막대한 리튬이 부존돼 있다. 우리는 이곳을 리튬 트라이앵글이라고 부른다.

우리나라는 2009년부터 한국광물자원공사를 중심으로 포스코, 삼성물산, LG상사, GS에너지 등 공기업과 민간 기업이 힘을 합해 리튬 트라이앵글 진출을 시작했다. 첫 번째 나라는 아르헨티나였다. 아르헨티나는 리튬 매장량 세계 2위, 생산량 세계 4위 국가다. 2010년 6월 광물자원공사는 GS에너지, LG상사와 함께 아르헨티나 살데비다 리튬 사업에 진출했다. 한국이 진출한 옴브레무에트로 리튬 염호는 아르헨티나에서는 유일하게 상업 생산을 하고 있는 곳이었다.

다음 진출국은 칠레였다. 칠레 리튬은 매장량은 적지만 품질은 좋다. 세계 최대 리튬 생산국이기도 하다. 광물자원공사는 삼성물산과 함께 2010년 11월에 진출했다. 여기에서도 지분 30%를 확보했다. 칠레 NX우노 리튬 프로젝트는 부존양이나 개발 여건이 모두 우수해서 당시 계획으로 이르면 2013년부터 우리나라에 리튬을 안겨 줄 유망 사업으로 판단했다.

리튬 확보의 마지막 나라가 최대 매장량을 자랑하는 볼리비아였다. 볼리비아 염수는 칠레나 아르헨티나에 비해 리튬 함량이 낮고 불순물인 마그네슘이나 붕소의 함량이 많다. 볼리비아는 이 같은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 가장 우수한 탄산리튬 제조 기술을 제공하는 국가나 기업에 리튬 개발 사업우선권을 주겠다면서 러브콜을 적극 보냈다. 일본, 중국, 프랑스 등은 우리나라보다 먼저 볼리비아에 진출, 기술보고서를 제출했다. 한국은 2009년 8월 광물자원공사와 볼리비아 국영기업 코미볼이 리튬 자원 개발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그 후 2010년 3월 광물자원공사, 포스코 산하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 3개 기관이 탄산리튬 제조기술사업단을 구성하고 연구에 본격 들어갔다. 그해 8월 볼리비아 정부로부터 가장 우수한 기술로 평가 받고 사업권을 따냈다. 그러나 이런 노력의 성과들은 2013년부터 중단되기 시작했다. 무엇보다 정권이 교체되면서 후임자들이 관리를 지속하지 않았다. 아르헨티나 살데비다 프로젝트는 개발 기간과 비용이 늘어난다는 이유로 한국 컨소시엄이 포기했다. 칠레 LX우노 프로젝트도 지난해 투자비 1600만달러(한국 지분 30%) 대부분을 회수, 청산이 완료됐다. 공을 들인 볼리비아 리튬 프로젝트는 한국의 우수한 독자 기술이 있었는데도 사업 계약 1년이 지난 2013년 7월 볼리비아와 맺은 계약이 파기됐다. 볼리비아 정부는 2013년 7월 기다렸다는 듯이 중국(린이 겔론)과 리튬 배터리 조립공장 건설을 위한 계약을 맺었다.

리튬 트라이앵글 프로젝트는 블루오션이자 새로운 미래를 열어 갈 기회였다. 당시 이 블루오션을 향해 글로벌 기업들이 앞다퉈 모여들었다. 한국은 늦게 출발했지만 외교 노력과 기술로 이들 국가로부터 사업권을 따냈다. 당시 리튬 확보를 위해 자원 개발에 적극 나선 이유는 우리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였다. 지금 국내 기업들이 또다시 리튬 사업에 뛰어들고 있는 모습은 씁쓸한 뒷맛을 남긴다.

강천구 영앤진회계법인 부회장 kkgg100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