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연 불소계 코팅 소재 양산 기술, 기업에 이전

화학연 화학인프라본부 연구진이 새로운 공정으로 만들어진 투명 박막 코팅소재를 들어보이고 있다.
화학연 화학인프라본부 연구진이 새로운 공정으로 만들어진 투명 박막 코팅소재를 들어보이고 있다.

국내 연구진이 경도와 밀착력이 크게 향상된 코팅 소재 기술을 개발, 국내 기업에 기술을 이전한다. 대면적 양산에 적합해 각종 첨단 제품에 폭넓게 쓰일 전망이다.

한국화학연구원(원장 이규호)은 화학인프라본부 연구팀이 개발한 새로운 불소계 코팅 소재 및 공정 기술을 재우엔프라, 립하이에 기술 이전하는 협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코팅 소재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기기, 사물인터넷(IoT) 기기 등 각종 첨단 제품에 쓰이는 필수 화학 소재다.

기존에는 필름에 불소계 고분자 용액을 바르는 습식 공정을 썼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강력한 고분자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내구성도 낮았다.

자기장을 이용해 원자 단위의 고분자 물질을 합성, 내구성을 높인 건식 공정이 대안으로 나왔지만 대량 생산이 어려운 것이 흠이다. 고분자 물질에 전기가 통하지 않아 복잡한 추가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고분자 물질에 유기·무기 물질 등을 섞은 전도성 복합 타깃 소재를 개발,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 건식 생산이 가능하다.

이미 연구원 내 소재 생산 설비를 이용, 공정 시험을 마쳤다.

새로운 코팅 소재는 성능도 뛰어나다. 밀착력이 평가 기준 최고 수준인 `5B`로 나타났다. 평균 습식 공정 제품보다 10배 이상 단단하다.

발수성(물을 배척하는 성질), 내지문성, 유연성, 빛 반사 기능도 기존 제품보다 뛰어나다. 공정에 들어가는 무기물질 종류와 배율을 조정, 특정 기능을 강조할 수도 있다.

이 소재는 부가 기능을 통해 그동안 주로 쓰이던 전기전자 산업 외에도 다기능 코팅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소재가 앞으로 의료, 자동차, 항공, 식품, 제약, 건강 산업 분야에서도 폭넓게 쓰일 것으로 내다봤다.

기술 상용화까지는 2년이 걸릴 것으로 예측된다. 기술 이전이 추가로 진행되면 상용화 시기는 앞당겨질 전망이다.

이규호 화학연 원장은 “불소계 코팅 소재 기술은 디스플레이, 태양광, 기능성 섬유, 이차전지 등 국가 신성장 동력 창출을 위한 기반 기술”이라면서 “기술 개발 지속으로 국내 소재·부품 기업이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