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美 금리 파고 넘을 특단대책 세워라

미국 정부가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우리나라 기업·가계 재정 압박이 커졌다. 미국은 새해 3차례 더 금리인상을 예고해 사실상 `저금리시대 종결`을 선언했다. 우리도 더 이상 저금리 환경의 기업 경영이나 가계 운영이 불가능해졌다고 봐야 한다.

한국은행은 미국 금리인상 직후 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현 기준금리 1.25%를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미국이 금리를 인상했다고 해서 바로 우리 금리까지 올리면 시장 충격파가 더 클 것이란 인식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 동조에 치우치지 않겠다는 금융통화당국의 고심으로 읽혀진다.

하지만 우리의 금리동결 결정은 마냥 반길 수 만은 없다. 이미 미국의 추가 금리인상이 예고된 상황에서 한은 금통위가 언제까지 동결로 버틸 수 있을지가 걱정이다. 결국 미국 금리에 따라 전 세계 금리는 움직일 것이고, 우리만 동결로 갈 수 없다. 통화당국이 안전판 역할을 하려면 순차적으로 충격파를 조금씩 흡수하는 전략을 짜야한다.

기업이나 가계도 우리 통화당국의 금리동결 결정을 무조건 `안전 신호`로 읽어선 안 된다. 오히려 미국 금리인상의 충격파가 우리 시장에까지 실질적으로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차 두기` 정도로 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대비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기업 차원에서도 미국이 울린 `저금리시대 종언`을 돌이킬 수 없는 변화로 받아들여야 한다. 확장이나 팽창 위주 전략은 큰 화살이 돼 되돌아올 수 있다. 기술과 본원 경쟁력에 기반한 착실한 성장전략이 요구되는 시대다.

앞으로 정책은 가계 부실 폭발을 막는데 집중돼야 한다. 결국, 이것이 현재 우리 기업 활동이나 소비 위축을 푸는 열쇠이기도 하다.

금리 동결로 유지할 수 있는 시간은 그리 많지 않다. 가계가 안고 있는 부채 문제와 이른 동체착륙이라도 시킬 수 있는 특단의 대안이 시급하다. 정국 난맥상 만큼 위험한 대외 금리 파고를 넘어서는 것이 정말 중요해졌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