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핫이슈]2035년, 4대 중 1대는 `자율주행차`

[과학 핫이슈]2035년, 4대 중 1대는 `자율주행차`

자동차 패러다임이 자율주행차로 바뀌어 가면서 법적 과제와 정책 방향, 사고 책임 논의도 활발해지고 있다. 보험연구원은 최근 국회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자율주행 시대에 보험과 관련해 자율주행차 시대에 적합한 교통사고 관련 책임법제가 도입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자율주행차 제작사가 새로운 교통사고 책임 주체로 인정돼야 한다고 전했다.

논의에 발맞춰 한국공학한림원도 `자율주행차 혁명, 한국은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미래 자율주행차 시장과 경쟁국 상황, 한국의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현재 자율주행차 기술 현황과 경쟁국 상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자율주행차란

자율주행차는 말 그대로 자동차가 주행환경을 인지하고 주행경로를 계획해 스스로 운행하는 자동차다. 자율주행차는 운전자의 눈 역할을 하는 각종 `센서`와 뇌를 대신하는 `프로그램`으로 운전자 역할을 대신한다. 각종 센서로 모인 정보를 종합해 상황에 맞는 최적의 안전주행을 보장하려면 신호처리, 상황인지, 차량제어, 실시간 소프트웨어 기술이 집약돼야 한다.

자율주행차는 운전자와 자율주행 프로그램간의 책임비율에 따라 그 기술 수준이 나뉜다. 국제자동차기술자협회(SAE)의 분류체계에 따르면 자율주행 3~5단계 모두 인지와 제어를 자율주행 프로그램이 담당한다. 사전에 정의된 특정한 조건에서 운전자가 항시 주변을 주시하며 언제든 운전에 개입할 수 있을 때만 동작하는 방식이 3단계, 사전에 정의된 상황에서는 운전자의 개입이 필요없는 수준이 4단계, 최종적으로 항시 운전자의 개입이 불필요한 단계를 5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2035년, 4대 중 1대는 자율주행차

자율주행차는 2020년경 본격적으로 등장하고 2025년경부터는 일정 수준 보급될 것으로 예측된다. 벤츠, BMW, 아우디, 닛산, 도요타, 현대차 등 주요업체들은 2020년까지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레벨3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보스턴컨설팅그룹은 2035년 세계적으로 판매되는 자동차 4대 중 1대는 자율주행차이고 완전 자동주행 자율주행차는 1200만대, 부분 주행 자율주행차는 1800만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5년 세계 자율주행차 시장은 420억달러 규모로 자율주행차 가격은 2000달러에서 1만달러가량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자율주행차 시장이 2017년부터 형성되고 2022년까지 도심 자율주행차 기술개발이 완료될 것이며, 초기시장은 일본과 서유럽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벤츠상용차는 2025년까지 장거리 운송트럭의 자율주행 기술을 상용화할 예정이다.

[과학 핫이슈]2035년, 4대 중 1대는 `자율주행차`

◇치열한 경쟁

미국은 GM과 구글이 자율주행차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유럽은 벤츠, 아우디, BMW 등 자동차 3사가 개발하고 있다. 이들은 내비건트 리서치가 실시한 자율주행차 경쟁력 조사에서 가장 앞선 리더그룹에 위치해 있다. 아시아는 일본 자동차업체들이 가장 앞서 나가고 있다. 한국과 중국의 자동차 업체들은 이 격차를 줄이려고 노력 중이다.

완성차업체와 자동차 부품업계는 자율주행 기술 적용이 확대되면서 기본 기술 영역에서 기술 주도권을 갖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과거에는 완성차업체가 전체 시스템 통합과 판단기술 개발을 담당하고 부품업체는 인식과 제어에 필용한 모듈기술 확보에 집중했다. 최근에는 모듈기술 상용화에 성공한 부품업체가 판단기술로 개발 분야를 확대해 통합시스템 개발에 나서면서 완성차업체와 기술경쟁이 더욱 격화되고 있다.

◇앞서가는 선진국

각국 정부는 자율주행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자율주행과 관련된 법제화를 서두르고 있다. 미국은 자율주행자동차를 도로교통 안전을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기술로 본다. 네바다와 플로리다, 캘리포니아, 미시건, 워싱턴DC 5개 주가 자율주행차의 일반도로 주행을 허용하는 법제화를 마쳤다. 뉴욕, 일리노이, 하와이, 텍사스 등 12개주는 심사 중에 있다. 2011년 6월 네바다주는 세계 최초로 자율주행차 운행을 합법화했다. 올해 9월에는 교통부(USDOT)와 고속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연방정부 자율주행자동차 정책`을 발표했다. 미국 교통부는 이 정책을 기술의 변화와 자율주행자동차 양산 단계에 맞추어 매년 개정할 예정이다.

유럽은 2014년 비엔나 도로교통협약을 수정해 자율주행차 주행이 가능하도록 했다. 영국은 산업혁신 로드맵에 자율주행차 분야를 추가하고 4개 도시를 자율주행 시범도시로 지정해 시험운행을 진행하고 있다.

일본은 자율주행차 개발을 지능형 도로인프라 구축 분야와 지능형 차량으로 나눠 다양한 투자를 하고 있다. 일본 국토교통성은 완성차업체, 부품업체와 공동으로 교통체증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있고 세계 최초로 고령자 맞춤형 1인승 모빌리티를 양산 중에 있다. 지난해 2월 도요타, 혼다, 닛산 등 일본 자동차업체들이 자율주행 기술 공동개발에 착수했다.

◇자동차-IT-정부-대학 간 협력 서둘러야

주요국 정부들은 자율주행 환경 구축을 위해 법과 제도를 정비하고 자율주행 전용도로를 만들어 대중교통 체계를 정비하고 있다. 자율주행차가 널리 보급되려면 소비자의 불안감을 해소해야 한다. 다양한 이용 환경과 우호적인 여건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미국 미시건 대학이 세계 최초의 자율주행차 시험장으로 구축한 `M-시티`에서 보듯 우리도 정부부처, 완성차업체, IT업체, 대학연구소의 긴밀한 협력체계가 선결돼야 한다. 자율주행차는 다양한 센서 융합기술을 바탕으로 정확한 판단과 정밀한 차량제어를 필요로 하는 첨단기술의 집약체다. 이런 고부가가치 자율주행시스템 개발을 위해서는 센서 등 핵심기술의 선개발과 확보가 필수적이다. 자동차기업-IT기업-정부-대학연구소 간 협력과 소통이 긴밀하게 요구되는 때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