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칼럼]자율주행, 진화 앞둔 자동차산업

이재관 자동차부품연구원 스마트자동차기술연구본부장
이재관 자동차부품연구원 스마트자동차기술연구본부장

최근 자동차 산업은 안전하고 편리한 이동수단을 제공하고 교통사고로 인한 인명·재산 손실을 최소화해야 하는 새로운 역할에 직면하고 있다. 자율주행은 운전자 조작 없이 자동차 스스로 주행 환경을 인식하고 안전한 주행 경로를 판단해서 주행하는 자동차를 의미한다.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자율주행을 자동화 단계에 따라 5단계(레벨0~레벨4)로 구분하고 있다.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고급 차종에서는 이미 차간거리제어, 차로유지지원 등 특정 기능의 자동화 시스템이 일부 적용(레벨1)되고 있다. 두 개 이상 자동화시스템이 통합 적용되는 자동차(레벨2)는 현재 많은 자동차 업체에 의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제한된 조건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한 자동차(레벨3)에 대해서는 구글 등이 실 도로 상에서의 실증 테스트를 수행하고 있다.

완전 자율주행(레벨4)은 탑승자가 목적지를 입력만 하면 자동차 스스로 주행하는 수준으로, 자동차 및 주행 환경에 대한 기술은 물론 사고 발생 시 법 책임, 보험 등 문제까지 완벽히 해결돼야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여진다.

앞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자율주행 비중은 2025년 4%에서 2035년 75%로 폭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시장에서 주요 완성차업체들은 자율주행차 적시 출시를 목표로 개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미래 자동차 경쟁력은 자동차를 만드는 기술력보다 사회와 공존하면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신개념 이동체로서의 역할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세계 수준의 자동차, 인프라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충분한 잠재력 보유,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전환이 중대한 기회이자 위기다. 글로벌 시장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 세계 5위의 자동차 산업 위상마저 위협받을 가능성도 있고, 이런 중대한 변화의 기로에서 국민·산업·사회 간 협력을 통해 범국가 차원의 역량을 결집하고 이업종 간 협업, 안전성 및 신뢰성을 위한 실증, 인프라 및 법제도 연계를 위한 패키지형 정부 지원이 장기간 시급한 상황이다.

행복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안전한 이동수단을 제공하고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수준 높은 자동차 생활` 제공을 위해서는 운전자와 자동차, 자동차와 주변 환경, 일상생활의 모든 요소를 긴밀하게 연결시켜서 쾌적하고 안전하고 편리한 친환경 자율주행차 개발이 필요하다.

또 단순한 기술 개발에 그치지 않고 사업화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산업 융합 생태계 조성도 필요하다.

자율주행을 둘러싼 산업 융합은 핵심 부품 상용화 기술 국산화, 융합 신기술 개발 및 융합 서비스 창출, 세계 수준의 자율주행 기반 마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략상 국산화가 필요하고 기술 자립도가 낮은 자율주행 핵심 부품을 개발하고 국산화된 부품을 시스템에 적용, 성능을 검증하도록 해야 한다.

`설계-개발-시험-실증` 등 기술 개발 전 과정에 다수 수요 기업을 참여하도록 해서 제품 품질을 확보하고 사업화 성과를 극대화해야 한다.

또 자율주행 핵심 부품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자율주행 관련 임베디드 SW와 시스템반도체 융합 소자도 대학 및 해외 선진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원천 설계 기술 확보, 국내 반도체 기업과 수요 기업의 협력 전략을 통해 상용화 기술 확보를 해야 한다.

미래 세계 시장 선도를 위해서는 자동차-인프라 기술 융합을 통한 융합 신기술 확보가 필요하다. 정보통신기술(ICT)을 보유하고 있는 대학, 연구소와 기업 간 기술 개발 공동 추진을 하고 자율주행을 위한 데이터베이스(DB)와 개방형 플랫폼 구축 및 제공으로 ICT 업체의 기술 개발 지원 및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

또 자율주행 관련 서비스 사업 모델 창출을 위해 자율주행과 연계한 고부가가치 서비스 모델을 발굴하고, 실증 환경에서 다양한 시나리오 검증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하고 사업화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글로벌 수준의 자율주행 실증존을 구축하고 통신 인프라, 위치측정시설, 교차로연계시설 등이 지원되도록 하는 등 국내 기업의 사업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자율주행이 실현돼 보급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운전자 수용성, 사회 수용성, 산업 수용성을 동시에 만족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적기 실용화·사업화 관점에서 관련 기술을 허가하기 위한 제도와 법규 정비가 필요하다. 보급에 걸림돌이 되는 과도한 규제는 관계 부처 합동으로 일괄 개선하고, 실증 지역에서 규제를 우선 완화한 뒤 전국으로의 확대가 효율성이 있다.

이재관 자동차부품연구원 스마트자동차기술연구본부장 jklee@katech.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