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수출 기업은 애써 섭외한 한류 스타 홍보물을 고스란히 날려 버렸다. 통관 기간이 고무줄처럼 늘어지면서 유통 기한에 민감한 식품 기업은 피해를 봤다. 갑자기 엄격해진 통관 절차로 현지 물량 조달에 차질을 빚은 기업도 있었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이슈가 불거진 이후 발생한 대중국 수출 기업 피해 사례다. 수출업계 관계자가 전하는 상황은 심각했다. 현지에서 화장품 길거리 매장을 운영하는 한국인 대상으로 당국이 대규모 단속을 벌였다는 얘기까지 전해졌다.
한 중소기업인은 “사소한 서류 누락은 사후 보강으로 양해하던 중국 당국이 이제는 모든 서류를 철저하게 검사하고 있다”면서 “현지 당국이 꼬투리를 잡으려고 마음만 먹으면 걸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무역인들은 사드 배치 확정을 전후로 중국 당국의 태도가 확연히 바꼈다고 입을 모았다. 수출 중소기업의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중국의 입장 변화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냉온탕을 오가는 한·중 관계에 따라 대중국 수출 길도 함께 흔들렸다.
대외 변수는 분명 기업이 감내해야 할 위험 요인이다. 그러나 대체로 자원이 부족한 중소기업은 외부 악재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정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 대내외 돌발 변수가 터질 때마다 중소기업에 맨몸으로 견디라고 할 수는 없다.
정부가 입버릇처럼 외친 것이 중소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이다. 그러나 국내외 돌발 변수로 말미암아 수출 중소기업이 속수무책으로 피해를 보는 상황은 여전하다. 불과 몇 달 전 한진해운에 수출 물량이 묶인 중소기업이 그랬다.
정부는 수출 중소기업이 거래처를 유지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수출 중소기업은 국가 차원에서도 소중한 경제 자산이다. 일각에서는 중소기업 싱크탱크를 설립하자는 목소리도 나온다. 중소기업이 대외 돌발 변수에 효과 높게 대처할 수 있도록 싱크탱크가 실속있는 정보와 컨설팅을 제공하자는 것이다. 중소기업 피해 사례는 충분히 많았다. 이제 악순환을 끊을 때다.
이영호기자 youngtig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