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발전에 대한 두려움은 인류 역사와 함께했다. 영국에서는 자동차가 등장했을 때 마차업계가 저항했다. 자동차 속도를 마차보다 빠르지 않도록 시속 16㎞ 이하로 제한하는 `적기조례`를 선포했다. 숙련공이 들고 일어나 기계를 파괴한 러다이트 운동 등 과격한 형태도 있었다. 두려움의 근원은 기존 산업 종사자의 수익과 일자리를 위협한다는 것이다.
배달 온·오프라인연계(O2O) 업계가 중소기업중앙회와 갈등을 빚는다. 중기중앙회가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사업자의 불공정 행위가 백화점, 마트보다 심각하다고 포문을 열었다. 배달 앱 사업자는 강하게 반발했다. 중기중앙회의 비판은 일부 의견만 반영해 사실과 다르며, 배달 앱이 중소상공인의 이윤 증대 효과가 크다고 반박했다.
O2O 산업은 모바일 시대를 맞아 불가피한 흐름이다. 빅데이터 분석, 결제, 위치 기반 기술을 접목해 이용자와 종사자의 편의성을 개선했다. 추천부터 구매까지 이용자 진입 장벽을 낮춰 시장 크기를 키우는 데 기여했다. 택시 호출 서비스 `카카오택시`의 경우 기사 회원의 하루 매출이 약 1만5000원 늘었다. 연매출 350만원 이상 늘어난 셈이다. 무턱대고 O2O 서비스에 반감을 드러내고 규제를 논의하는 것은 전체 산업 발전에 도움이 안 된다. 국경 없는 인터넷 서비스 특성상 국내 경쟁력만 떨어뜨릴 우려가 있다.
동시에 O2O 서비스 기업의 책임도 무거워졌다. 대부분 스타트업으로 시작했지만 모바일 확산으로 플랫폼 영향력이 급속도로 커졌다. 회사 규모에 비해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무시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업력이 짧다 보니 전체 시장을 고려한 서비스 운영이 완벽치 않은 것도 사실이다. 갈등은 플랫폼이 성장하며 거치게 되는 갈등의 과정이다.
O2O 기업과 기존 산업계는 갈등보다 상생을 위한 접점을 찾아야 한다. O2O 서비스는 디지털기술을 바탕으로 기존 시장을 혁신시키는 속성이 있다. 그 과정에서 시장이 체감하는 파급력은 인공지능(AI)보다 크다. 대화와 타협을 통해 혁신 과도기에 발생하는 충격을 보완할 완충장치 마련에 힘써야 한다.
오대석기자 od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