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6억명이 넘는 동남아 시장이 중국 인터넷 회사의 새 격전지로 부상하고 있다.
2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은 중국 내수시장이 경기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알리바바, 텐센트, JD닷컴, 디디추싱 등 중국 인터넷 기업이 동남아시장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동남아는 중국과 지리적으로 가까운데다 인구 6억2000만명에 달하는 거대 시장이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필리핀, 베트남 등이 주요 국가다. 온라인 소매 및 모바일 결제 시장이 확대되고 있어 중국 인터넷 기업의 주요 공략 거점으로 떠올랐다.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올해 전자상거래와 물류 및 소셜네트워크 비즈니스 확대를 위해 이 지역에 총 10억달러 이상 지분투자를 했다. 중국은 이를 포함해 올해 이 지역에 19억달러를 투자했다. 동남아는 유럽과 북미에 이어 중국 기업이 세번째로 많이 투자한 지역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중국 기술기업의 동남아 투자가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포슈 ? 텐센트 국제 비즈니스 담당 부사장은 “중국에서 터득한 노하우를 동남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특히 인도네시아에서 높은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동남아는 총 GDP가 2조5000억달러에 달한다. 스마트폰 보유 비율도 높아졌다. 조사기관 이마케터는 이 지역 스마트폰 사용자가 2020년 2억5700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같은 해 미국 예상치(2억4150만명)보다 1000만명 이상 많다.
알리바바는 지난 4월 싱가포르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라자다(Lazada)` 그룹을 10억달러에 인수했다. 라자다 물류 네트워크를 이용해 동남아 소비자가 알리바바에서 주문한 물품을 신속히 배송한다. 라자다는 알리바바 본사에 직원 100명 이상을 파견해 기술 및 물류 운영 개선 작업도 진행했다. 라자다는 알리바바 주선으로 유니레버와 매텔 등 유명 브랜드를 자사 사이트에 유치하기도 했다.
텐센트는 올해 싱가포르 스타트업 가레나인터랙티브의 1억7000만달러 규모 투자유치에 참여했다. 이 회사는 지난해 `쇼피(Shpee)`라는 P2P 마켓플레이스 앱을 내놓았다. 기업가치는 37억5000만달러에 이른다. `쇼피` 앱에는 결제, 채팅 및 배송 기능이 내장, 원활한 거래가 가능하다. 소비자와 소규모 소매업자에 인기를 얻으며 동남아 시장에서 라자다 경쟁상대로 떠올랐다.
JD닷컴은 지난해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출했다. 리처드 리우 JD닷컴 최고경영자(CEO)는 “인도네시아는 5년 전 중국 시장과 비슷하다”면서 “전자상거래시장은 아직 성숙하지 않았지만 인구가 많고 인터넷 사용자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차량호출업체 디디추싱은 싱가포르에 기반을 둔 승용차 공유 앱 `그랩(Grab)`에 투자했다. 그랩은 디디를 포함한 투자자로부터 3억5000만달러를 유치해 동남아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동남아 결제시장도 중국업체의 공략대상이다.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이 지역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됨에 따라 `알리페이`(알리바바)와 `위챗페이`(텐센트)의 동남아 결제 플랫폼 확장을 위해 경쟁하고 있다. 알리바바는 태국 인터넷 금융회사 어센드머니(Ascend Money)에 투자하기도했다. 어센드머니는 중국인 관광객이 태국에서 알리페이를 사용할 수 있게 2만개 가맹점에 결제망을 구축했다. 8억명 사용자를 보유한 위챗페이도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결제 네트워크를 확대 중이다.
중국 인터넷 기업이 동남아 시장을 개척하는데 걸림돌도 있다. 지역마다 특성이 다른 데다 현지업체와 치열히 경쟁해야 한다. 대표적으로 인도네시아에는 `토코피디아(Tokopedia)`라는 강력한 현지 업체가 있다. 현지업체와의 치열한 경쟁으로 일본 전자상거래업체 라쿠텐은 올해 동남아지역 온라인 시장을 폐쇄하기도 했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