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https://img.etnews.com/photonews/1701/904557_20161229102831_585_0003.jpg)
세계 제조업에 변화와 혁신 바람이 불고 있다. 핵심은 소프트파워를 결합한 경쟁력 강화다. 전통 제조업 한계를 넘어 새로 거듭나는 게 공통의 과제다. 세계 주요 국가와 기업은 경쟁적으로 제조업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있다.
제조업 변화를 한마디로 설명하는 게 `4차 산업혁명`이다. 4차 산업혁명은 기존 산업에 빅데이터, 인공지능(AI) 같은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해 발전시키는 것이다.
지난해 10월 한국을 방문한 클라우스 슈바프 다보스포럼 회장은 “한국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좋은 근간을 갖추고 있다”면서 “대기업이나 재벌 중심에서 벗어나서, 대기업이 재구조조정을 거쳐 중견·강소기업과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방식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 변화에 빠르게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게티이미지뱅크](https://img.etnews.com/photonews/1701/904557_20161229102831_585_0001.jpg)
◇경쟁력 약해지는 제조업
우리나라 제조업은 세계적 수준이다. 세계적 컨설팅 회사가 평가한 순위에서 우리나라 제조업 순위는 3~5위를 오간다. 압도적 경쟁력을 보유한 미국과 중국을 제외하면 최고 수준이다. 국토가 좁고, 천연자원도 부족하지만 기술력으로 제조업 수준을 높였다.
하지만 이 순위는 결코 안정적이지 않다. 제조업 경쟁력이 약화되는 신호가 곳곳에서 감지된다. 경쟁국은 강력한 제조업 혁신에 나서고 있다. 인도와 동남아 등 천연자원과 인력을 보유한 개발도상국 성장 속도는 엄청나다.
딜로이트 글로벌이 발표한 `2016 글로벌 제조업 경쟁력 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20년 글로벌 제조업 경쟁력 순위에서 인도에 밀려 6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10위권 밖에 있는 인도(11위)는 불과 수 년 만에 5위까지 점프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에 밀려 2위를 기록한 미국은 2020년 다시 1위에 올라설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이 다시 1위가 될 것이라는 전망은 정부 차원에서 연구와 기술개발, 투자 등을 강화하는 것이 주요 근거다.
3위와 4위는 독일과 일본이 차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우리나라를 추격하는 그룹으로는 멕시코, 영국, 대만, 캐나다 등이 꼽혔다.
10위권 국가까지는 인도를 제외하면 큰 변동이 없지만, 10~20위 사이에는 상당한 변화가 예상된다.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이 순위를 상당히 끌어올리며 15위 안에 진입할 것이란 분석이다.
◇한국 제조업, 4차 산업혁명 속도 내야
세계가 모두 제조업 혁신에 뛰어들었다. 우리나라 제조업도 혁신 대열에 가세해야 한다. 중요한 것은 누가 먼저 혁신을 완성하느냐다.
정부도 제조업 혁신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제조업 혁신 3.0` 전략이 핵심이다.
기본 방향은 IT와 소프트웨어 융합으로 융합 신산업을 창출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만들고, 선진국 추격형 전략에서 선도형 전략으로 전환해 우리 제조업만의 경쟁우위를 확보해 나가자는 것이다. 기업이 제조업 혁신을 주도할 수 있도록 정부가 환경 조성에 주력하겠다는 내용이다.
제조업 혁신 3.0 전략을 꾸준히 추진한 결과 지난해 12월까지 2611개 기업에 스마트공장 도입을 추진하는 등 성과를 거뒀다. 민관합동스마트공장 추진단에 따르면 총 2611개 기업이 스마트공장을 도입했고, 이 중 1566개는 이미 스마트공장 구축을 완료했다.
하지만 제조업 혁신 효과가 기대에는 못 미친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가 발간한 `테크놀로지 리뷰`에 따르면 `세계 50대 스마트 기업`에 우리나라 기업은 단 한 곳도 포함되지 못했다. 국내 대표기업 삼성전자는 2년 전 4위까지 올라갔으나 지난해 아예 순위에서 빠졌다.
전문가들은 변화 속도를 끌어올려야 한다고 지적한다. 지난해 한국을 방문한 `4차 산업혁명 전도사` 클라우스 슈바프 다보스포럼 회장 역시 `속도`를 강조한 바 있다.
![지난 10월 한국을 방문한 클라우스 슈바프 다보스포럼 회장이 한국이 4차 산업혁명 속도 내야한다고 주문하고 있다.](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17/01/02/article_02151743544374.jpg)
슈바프 회장은 “크기가 아니라 속도가 중요하다”면서 “한국 대기업이 구조조정을 통해 자이언트가 아니라 빨리 움직이는 물고기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기업 혁신을 지원하는 정부 역할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사회 전반으로 확산해야
`4차 산업혁명`은 거스를 수 없는 세계적 흐름이다. 우리나라도 제조업에 정보통신기술(ICT) 등 소프트파워를 더한 혁신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한가지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은 4차 산업혁명이 단지 제조업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이다. 사회 전반의 변화가 요구된다.
4차 산업혁명을 위해 필요한 과제를 살펴보면 답이 보인다.
4차 산업혁명에서 중요한 것은 제조업을 혁신하기 위한 ICT다. 빅데이터, 인공지능,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인터넷(IoT) 등이 대표적이다. 이처럼 새로 부상하는 ICT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전문가가 필요하다. 특히, 한국이 약점을 가진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 그러려면 교육이 바뀌어야 한다. 장기적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인재를 위한 교육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
한국식 교육 문제점인 강의식, 암기식을 벗어나야 한다. 자유롭게 의견을 주고받는 토론식 교육, 창의성을 키우는 교육이 대안이다.
정부도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교육 개혁 필요성을 인식하고, 변화를 모색한다. 교육부는 지난달 말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한 중장기 교육정책 방향과 전략`을 발표했다. 2030년까지 중장기 교육 전략으로 4차 산업혁명발 변화에 대응하겠다는 내용이다. 우리나라 교육이 나아갈 5가지 방향은 △학생들의 흥미와 적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교육 △사고력, 문제 해결력, 창의력을 키우는 교육 △개인의 학습능력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 △지능정보기술 분야 핵심인재를 기르는 교육 △사람을 중시하고, 사회통합에 기여하는 교육으로 정했다.
교육 못지않게 변화가 요구되는 분야는 노동 분야다. 4차 산업혁명 시대는 현재와 노동시장 구조가 판이하게 달라질 전망이다. 인간 일자리 중 상당 부분을 로봇이나 인공지능이 대체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엔미래보고서도 의사, 변호사, 통역사, 기자 등 현재 전문직 중 상당 부분이 인공지능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반대로 새로 생겨나는 일자리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인공지능이나 로봇이 할 수 없는 창의적인 일이나 감성적인 일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결국 현재 가장 필요한 것은 노동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구조 마련이다. 지금처럼 경직된 노동시장 구조로는 4차 산업혁명 시대 빠른 변화에 대처가 불가능하다.
클라우스 슈바프 다보스포럼 회장이 한국을 방문했을 때도 “노동시장 유연성을 갖추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산업의 빠른 시장 진입을 위한 규제개혁이다. 현재 우리나라 규제는 대부분 포지티브 방식이다. 즉, 법률에 가능한 것을 나열하는 식이다. 때문에 새로운 산업이 출현하면 기존 규제와 충돌하거나 규제가 없는 문제가 생겼다.
산업계는 이전부터 네거티브 방식 규제 체계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법률에 금지하는 내용을 규정하고, 이를 제외한 것들을 허용하는 방식이다. 4차 산업혁명발 신산업이 등장했을 때 골든타임을 놓쳐 경쟁력을 잃지 않기 위해서도 규제개혁은 필수다.
<제조업 혁신 3.0 전략 주요 내용>
권건호 전자산업 전문기자 wingh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