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창조과학부가 `보안`을 주제로 새해 첫 정보통신기술(ICT) 정책 해우소를 개최했다. 국방부, 경찰청 등 회의에 참석한 관계기관은 범정부 차원에서 사이버보안 협력 강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데 뜻을 같이 했다.
미래부는 최재유 2차관 주재로 국가보안기술연구소에서 지능정보사회를 선도하기 위한 제1차 ICT 정책 해우소를 개최했다고 8일 밝혔다.
국방부, 행정자치부, 경찰청, 국가정보원 등 정부기관과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국가보안기술연구소 등이 참석해 2017년 사이버 위협 전망과 범정부 차원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전길수 한국인터넷진흥원 사이버침해대응본부장은 기조발제에서 “지난 2009년 7·7 디도스 공격과 2013년 3·20 공격 등 사이버공격 발생 사례를 고려할 때 대통령 선거가 예정된 2017년은 어느 때보다 대규모 사이버공격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국방부, 경찰청 등 관계기관 역시 주요 기반시설 등에 대한 상시보안 점검과 예방조치, 신속한 대응력 강화, 범정부 차원 협력강화 중요성에 의견을 모았다.
최재유 2차관은 “2017년 정책해우소 부제를 `지능정보사회 선도`로 정하고 첫 회의를 지능정보사회 전제조건인 사이버보안에 대해 논의했다”면서 “대규모 사이버공격이 우려되는 한 해이므로 민·관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관계기관이 합심해 대응하도록 철저히 준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정은기자 je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