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가성비` 내세운 LG X300 출시

SK텔레콤이 LG전자 스마트폰 `LG X300`을 18일 출시했다.공시지원금은 최저 요금제 `밴드(band)데이터 세이브(월 3만2890원)` 기준 11만원이다. 최대 지원금은 `T 시그니처 마스터(월 11만원)` 기준 22만원이다. 중간 요금제 `밴드데이터 6.5G(월 5만6100원)를 이용할 경우, 17만4000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X300 출고가가 25만3000원인 점을 감안하면 기기값이 최대 3만3000원까지 떨어지게 된다. `LG X300`은 △최신 안드로이드 OS(운영체제) `누가(Nougat)` △일반 DMB보다 선명한 HD화질 DMB 등을 탑재했다. 소위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중장년층, 청소년층을 겨냥할 예정이다.

함지현기자 goham@etnews.com

 
< SK텔레콤 증시정보 >

증권사 목표주가 282,500원, 현재주가 대비 26% 추가 상승여력
최근 한달간 제시된 증권사 투자의견을 종합해보면 SK텔레콤의 평균 목표주가는 282,500원이다. 현재 주가는 224,000원으로 58,500원(26%)까지 추가상승 여력이 존재한다.

증권사별로 보면 하나금융투자의 김홍식, 최보원 에널리스트가 " 매수 강도 높일 시점, 2016년 4분기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를 하회할 전망이지만 서비스매출액이 양호하게 나타날 전망이어서 금년도 실적 기대감은 오히려 더 높아질 것으로 판단되고, 2017년 배당 증가 가능성이 높음을 감안 시 향후 현 주가 수준에서의 매수 기회가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2016년과는 달리 2017년엔 통신 3사 중 가장 높은 영업이익 성장이 예상된다…" (이)라며 투자의견 매수에 목표주가: 280,000원을 제시했고, 메리츠종금증권의 정지수 에널리스트가 " ICT 생태계 구축 위해 5 조원 투자 결정, 동사는 자회사인 SK브로드밴드, SK플래닛과 함께 투자를 진행하며, 3사 합산한 연간 CAPEX 금액이 3.0조원(SK텔레콤 2.1조원 / SK브로드밴드 0.7조원 / SK플래닛 0.2조원)임을 감안했을 때, 매년 약 6,000억원의 투자 금액이 추가로 집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라며 투자의견 을 제시했다.

[재무분석 특징]
영업이익률 현재 9.55%로 업종평균 수준.PER은 12.48로 업종평균보다 높으며, PBR은 1.19이다.업종내 시가총액 규모가 가장 비슷한 4개 종목과 비교해보면 SK텔레콤은 순이익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보여주는 PER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자산가치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나타내는 PBR은 적정한 수준를 유지하고 있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ROE 9.5 4.8 8.8
PER 12.5 12.7 12.0
PBR 1.2 0.6 1.1
기준년월 2016년9월 2016년9월 2016년9월

기관과 개인은 순매도, 외국인은 순매수(한달누적)
1월6일부터 전일까지 기관이 7거래일 연속 동종목을 내다 팔았다. 4주간을 기준으로 보면 외국인이 319,258주를 순매수한 반면, 기관은 매도쪽으로 방향을 잡으면서 309,696주를 순매도했고, 개인들도 순매도로 돌아서면서 9,562주를 순매도한 것으로 집계됐다.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은 0.16%로 적정수준
최근 한달간 SK텔레콤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을 비교해보니 일별 매매회전율이 0.16%로 집계됐다. 그리고 동기간 장중 저점과 고점의 차이인 일평균 주가변동률을 1.65%를 나타내고 있다.

거래비중 기관 45.59%, 외국인 37.05%
최근 한달간 주체별 거래비중을 살펴보면 기관이 45.59%, 외국인이 37.05%, 개인은 17.35%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최근 5일간 거래비중은 외국인이 42.71%, 기관이 41.41%, 개인은 15.86%를 기록했다.

투심과 거래량은 약세, 현재주가는 보통
현재 주가를 최근 주가등락폭을 기준으로 봤을 때 상승과 하락이 반복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고, 거래량을 적용해볼 때는 상승시 거래량이 동반되지 않는 약세권에 접어들었다. 투자심리도를 분석해보면 주가흐름이 좋지 않아 불안한 심리를 보이고 있고 이동평균선들의 배열도를 분석을 해보면 중기적 강세패턴으로 전환 후 조정양상이 길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