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뇌연구원, 루게릭병·전두엽 치매 원인 유전자 조각 발견

루게릭병과 전두엽 치매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유전자 조각이 발견됐다.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 조기 진단과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뇌연구원(원장 김경진)은 정윤하 뇌질환연구부 선임연구원과 필립 왕 미국 존스홉킨스대 교수가 공동으로 루게릭병과 전두엽 치매에 관여하는 `수수께끼 유전자 조각`이 세포 종류에 따라 다르게 발현되는 현상을 발견했다고 8일 밝혔다.

고령화 사회에서 문제가 되는 전두엽 치매나 근육 마비 증세인 루게릭병은 공통 원인이 `티디피43` 단백질에서 기인한다.

루게릭병과 전두엽 치매 일으키는 수수께기 유전자 조각 메커니즘 발견한 정윤하 한국뇌연구원 뇌질환연구부 선임연구원
루게릭병과 전두엽 치매 일으키는 수수께기 유전자 조각 메커니즘 발견한 정윤하 한국뇌연구원 뇌질환연구부 선임연구원

유전자에서 단백질을 만드는 과정을 조절하는 단백질 티디피43이 정상일 때는 수수께끼 유전자 조작 발현을 억제하지만 문제가 생기면 비정상 단백질이 만들어질 가능성이 짙어진다.

연구팀은 티디피43이 원하는 세포에서 발현되지 않도록 한 유전자 조작 쥐를 이용해 실험한 결과 근육세포와 신경세포 등 세포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종류의 수수께끼 유전자가 만들어진 것을 확인했다.

세포에서 발견된 비정상 단백질은 수수께끼 유전자 조각이 끼어들어 만들어진 것으로, 구조가 불안정하거나 일찍 분해돼 제 기능을 못하게 된다. 연구팀은 이러한 차이가 루게릭병이나 전두엽 치매 등 세포에 따라 다른 질환을 일으키는 이유를 밝혀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국뇌연구원, 루게릭병·전두엽 치매 원인 유전자 조각 발견

정윤하 선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티디피43 단백질과 특정 수수께끼 유전자 조각이 퇴행성 뇌신경계 및 근육질환의 진행 과정에 독특한 방법으로 관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면서 “뇌신경계 질환, 근육 질환 등의 치료제 개발과 조기 진단 마커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구=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