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바이오 기업의 창업과 초기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1135억원 규모의 '초기 기업 바이오 펀드'를 조성한다. 바이오 전문 VC(벤처캐피털)를 육성하고 바이오특수목적법인(SPC) 설립을 유도하는 지원사업도 추진한다.
정부는 27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3차 창업활성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포함한 '바이오 창업 활성화 방안'을 확정해 발표했다.
'바이오 창업 활성화 방안'은 고위험·장기·대규모 투자·높은 규제 장벽 등 바이오 분야 특수성을 반영한 맞춤형 창업 지원이다. 바이오 창업펀드 조성, 전문 VC 육성, 규제 정보서비스 제공 확대 등 바이오 분야의 특수성을 반영한 맞춤형 창업 지원으로 바이오 창업을 활성화한다는 전략이다.
정부는 초기 창업기업 지원 바이오 펀드를 중소기업청 750억원, 산업통상자원부 385억원 등 총 1135억원 규모로 조성한다. 코넥스 기술특례상장 요건 완화, 바이오 CVC 육성 방안을 마련해 창업기업의 자금 조달을 적극 지원한다. 기관투자자 지분보유 비율과 보유기간, 지정기관 투자자 요건 완화 등이 이뤄질 예정이다. 글로벌제약펀드 1·2호, 글로벌헬스케어펀드, 한국의료글로벌진출펀드 등 이미 조성된 4개 기존 펀드도 초기 창업기업 투자 지원 연계를 강화키로 했다.
범부처 바이오 규제개선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현장 규제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고, 첨단 바이오의약품 신규 가이드라인 7종 제·개정, 의료기기 인허가 정보 등 규제정보서비스를 확대한다.
병원발 창업 촉진을 위해 연구중심병원 인프라 개방 확대, 병원 연구개발(R&D)-창업 패키지지원사업(114억원) 등을 추진한다. 바이오 TIPS 확대, 초기 창업기업 전용 R&D 도입(20억원) 등 바이오 창업기업 R&D 지원도 강화한다.
송도, 오송 등 바이오 창업공간과 설비 확대, 바이오헬스 비즈니스 코어 센터 구축 등 전문보육조직 설치 등 창업 인프라도 확충한다.
황 권한대행은 “바이오 분야는 기술개발과 사업화 성공률은 낮지만 성장 잠재력이 크고 부가가치가 높은 미래 신성장동력 핵심 분야”라면서 “어렵게 이룬 벤처·창업 붐을 이어 나가고, 경제 회복과 일자리 창출 돌파구로서 창업 활성화 정책을 앞으로도 흔들림 없이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
-
송혜영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