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대통령은 10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당선 확인과 동시에 당선인 신분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대통령 임기를 시작한다. 대통령 선출 다음으로 차기 내각을 이끌 첫 국무총리 인선에도 국민의 관심이 쏠린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비 영남 출신 총리를 염두에 두고 있다고 공언했다. 문 후보는 평소 참모들에게 “새 정부가 새 시대 첫 차가 돼야 한다”고 강조한 만큼 개혁 성향의 인사가 발탁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문 후보는 총리 후보를 두 명으로 압축한 상태에서 최종 낙점을 앞두고 있으며, 당선되면 이르면 10일 취임 대국민 담화에서 지명자를 발표할 공산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당 안팎에선 박근혜 전 대통령과 기초연금 갈등을 빚다가 보건복지부 장관직을 버린 진영 의원, 실용주의자로 정평이 난 김효석 전 의원, 선대위 총괄본부장을 맡은 송영길 의원, 문 후보의 신임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박승 전 한국은행 총재 등 호남 출신 인사들이 총리 후보로 오르내린다. 안희정 충남도지사가 전격 발탁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는 충청 출신 1명과 영남 출신 1명을 초대 총리로 검토하겠다고 공공연히 밝혀 왔다. 홍 후보 자신이 영남 출신인 만큼 충청권 인사를 내세워 '영남·충청 연대'에 무게를 실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충청 출신인 정우택 당대표, 당 비상대책위원장을 지낸 인명진 목사도 후보군이다. 영남 출신으로는 윤증현·박재완 전 기획재정부 장관, 진대제 전 정보통신부 장관 등이 하마평에 오를 가능성이 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개혁공동정부 구상을 발표하면서 “집권하면 국회 추천을 받아 총리를 임명하겠다”고 밝혔다. 이 계획대로라면 박지원 당 대표, 손학규 상임선대위원장 등 국민의당 인사가 총리에 오를 가능성은 옅어 보인다. 그 대신 김종인 개혁공동정부 준비위원장이 통합정부 인사의 밑그림을 그릴 공산이 크다.
![[대선 2017]바로 임기 돌입 대통령, 총리 누구에게 맡길가도 '관심 집중'](https://img.etnews.com/photonews/1705/951403_20170509172906_760_0001.jpg)
성현희 청와대/정책 전문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