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한-중, 전환적 관계 개선이 답이다

1992년 수교 이래 우리나라와 중국은 전략적 동반 성장을 이뤄 왔다. 상대국을 최대 교역국으로 끌어올리는 동시에 경제와 산업 발전을 거뒀다. 25년 남짓 성과는 다른 나라가 부러워할 혈맹 관계로 굳어졌다. 2015년에는 자유무역협정(FTA)까지 발효되는 등 한·중 양국은 그야말로 공동 경제 블록 내 파트너로 지냈다.

그러나 혈맹 관계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한국 배치라는 돌발 변수를 맞아 지난해 말부터 얼어붙기 시작했다. 파국을 맞을 것이란 시각까지 가진 않았지만 감정 섞인 냉랭함이 지속되면서 쌓은 신뢰가 조금씩 흔들렸다. 분명히 나아질 것이란 낙관론이 존재했지만 언제 다시 그렇게 될지는 모르는 답답함이 지속됐다.

문재인 정부 출범이 분명 전기가 된 듯하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하자마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외국 정상 가운데 가장 긴 시간 동안 전화 통화를 하면서 현안을 풀고자 했다. 14일 박병석 의원을 일대일로 국제협력 정상 포럼에 한국 대표단장으로 파견한 데 이어 이해찬 전 국무총리를 중국 특사로 보냈다. 그만큼 문재인 정부가 중국 문제 해결에 성의를 다하고 있음을 보여 줬고, 중국 측도 14일 밤 시 주석이 박병석 단장을 면담하는 등 화답하기까지 했다.

사드는 중국 일대일로 국제협력 정상포럼 개최에 맞춰 장거리 미사일을 쏜 북한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의 군사 전략 선택이다. 그것 이상으로 한·중 관계를 흔들 만한 사유가 못 된다.

한국으로 향하던 중국 관광객의 발길이 끊기고, 한국 제품의 중국 현지 불매 운동이 일어날 정도로 적대적 조치의 근거가 되지 않는다. 무엇보다 25년 동안 굳건히 다져 온 양국 우호 관계를 헤치는 비이성 조치로 발전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

한국의 새 정부 출범과 중국의 일대일로 네트워킹의 원대한 꿈이 시작되는 지금이 한·중 관계를 원래대로 돌려놓을 가장 좋은 시간이자 기회다. 여기에 다른 이유나 해명을 덧붙이는 것은 양국 모두에 손해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