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부문 일자리 창출도 필요하지만 산업계를 중심으로 한 민간 일자리 창출이 중요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미래 유망 신산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산·학·연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빅데이터, 원격의료, 자율주행차 등 신산업 투자기업 대표들은 민간 역할의 중요성에 입을 모았다.
이들은 기업이 일자리를 만들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정부가 '일자리위원회'를 중심으로 노력해 줄 것을 요청했다. 역량 있는 전문인력 양성, 다른 산업에서 유연한 인력이동 지원, 법과 제도 등 인프라 확충, 정부와 연구기관의 새로운 기술개발(R&D) 지원 등을 언급했다.
이번 회의는 신산업 일자리 창출 전망과, 신산업 투자기업의 일자리 관련 성공사례와 애로사항을 중점 논의했다.
산업연구원은 산업부가 지난해 12월 선정해 발표한 12대 신산업에서 2025년까지 38만개의 일자리가 생겨날 것으로 전망했다. 12대 산업은 전기·자율차, 스마트선박, 사물인터넷(IoT)가전, 로봇, 바이오헬스, 항공·드론, 프리미엄 소비재, 에너지신산업, 신소재, AR·VR, 차세대디스플레이, 차세대반도체다. 12대 신산업 종사자 수는 2015년 20만3000명에서 2020년 36만2000명, 2025년 58만5000명으로 연평균 11.2%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전체 종사자 중에서 연구개발·품질검증·생산기술 등 전문성을 보유한 '산업기술인력'의 일자리 비중은 2015년 40%에서 2025년 50% 수준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산업기술인력은 고졸 이상 학력자로 사업체에서 연구개발, 기술직 또는 생산과 업무관련 관리자 등으로 근무하는 인력이다.
강성천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규제개선과 집중지원으로 일자리 창출효과가 높은 12대 신산업을 중심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기업의 고용유발형 신규투자를 유도하겠다”면서 “산업계 수요에 부합하는 실무 중심의 산업인력 교육·양성 사업도 지속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업계 대표로 비트컴퓨터, 일마일, 퓨처로봇, 우진엔텍 등이 참석했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
-
송혜영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