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공사 공대 설립이 이슈다. 광주·전남 지역에서 가장 큰 화두다. 대통령 공약 사업으로 채택된 데다 최초 제안자가 국무총리인 이낙연 전 전남도지사여서 한전뿐만 아니라 지역 사회에서도 기대가 크다.
전남도는 에너지밸리 성공을 뒷받침할 인력 양성을 위해 한전공대 설립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포항공대(포스텍)를 모델로 한전이 5000억원을 투입, 부지 148만7603m²(45만평) 규모로 2020년께 개교하기를 바라고 있다. 한전공대가 설립되면 수도권(서울대 공대)-충청권(카이스트)-영남권(포스텍)을 잇는 국토 균형 발전에도 보탬이 될 것이라는 시각이다.
한전공대 설립 과정에는 여러 걸림돌이 있다. 지역 대학의 반발도 만만찮다. 우선 학령인구가 급격히 감소, 대학 통폐합이 공공연하게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때에 새로운 대학 설립이 타당한가라는 주장이 나온다. 인근 대학은 벌써부터 신입생 유치 경쟁을 우려하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공계 특성화 대학인 광주과학기술원(GIST)과는 어떻게 차별화할 것인지도 관건이다. 한전공대가 에너지 전문 인력만 양성한다고 해도 전기, 물리, 화학, 신소재 등은 필수 커리큘럼으로 넣어야 한다. 내년이면 설립 25주년을 맞는 GIST와 중복된다는 지적도 피하기 어렵다.
교육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더욱이 미래 에너지 산업을 주도할 우수 인재 양성 교육 기관이라면 반대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교육은 백년지대계'라는 말에는 새로운 교육 기관을 설립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치밀한 계획과 전략이 필요하다는 의미도 담겨 있다. 한전공대 설립과 운영 방식을 놓고 한전과 지방자치단체, 대학 등이 머리를 맞대고 충분한 논의과정을 거치는 게 바람직하다. 새 정부가 강조하는 소통과 협치이자 상생을 위한 첫걸음이다.
광주=김한식기자 hskim@etnews.com
-
김한식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