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메자와 리카는 은행 계약직 영업 사원이자 평범한 가정주부였다. 아이가 없고, 남편에게 사랑을 느끼지 못한 그녀에게 직장 생활은 유일한 즐거움이다.
여느 때처럼 외근을 마치고 돌아가는 길에 백화점을 들르게 된 리카는 판매원 설득에 계획에 없던 화장품을 구매한다. 가지고 있던 돈이 부족했던 그는 고객 예금에서 1만엔을 꺼내 충당하고 백화점을 나서자마자, 바로 은행을 찾아 그 돈을 채워 놓는다. 하지만, 이는 그녀의 일상에 작은 균열을 일으키기 시작한다.
설상가상 내연관계인 '코타'가 학비가 없어 휴학 위기에 처하자 그를 돕기 위해 고객 예금에 손을 댄다. 처음엔 1만엔 정도였지만 거금 200만엔에 손을 대기 시작한다. 그 이후, 사실이 적발될까 은행장부를 조작하는 등 점점 그녀의 삶은 돌이킬 수 없이 어긋나버린다. 거짓된 행복에 대한 욕망이 커지며, 횡령은 반복되고 걷잡을 수 없게 된다.
리카는 왜 거짓말을 멈출 수 없었을까. 탤리 샬럿 영국 런던대 심리학과 교수팀은 학술지 '네이처 신경과학'에 '거짓말이 거짓말을 낳는 현상은 뇌과학에 기인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인간의 뇌에는 부정직한 행동을 하면 이를 꺼리게 하는 일종의 제동장치 역할을 하는 부위가 있다. 거짓말을 반복할수록 그 제동력이 줄어든다는 점이 뇌 자기공명영상(fMRI) 촬영을 통해 확인됐다.
뇌 측두엽 안쪽에 자리 잡은 편도체는 거짓말에 반응해 이를 제어하는 브레이크 역할을 한다. 그러나 거짓말을 반복할수록 편도체는 활동성이 떨어지고 제어 기능이 약해져 거짓말을 반복하게 된다는 것이다.
다만, 그 편도체 활동량을 줄어들지 않게 하고 다시금 끌어올려 거짓말을 더 제어할 수 있는 가능성도 열려 있다.
샬럿 교수는 “거짓말을 일삼는 정치인, 부패한 금융업자, 연구결과를 조작하는 과학자, 불륜을 저지르는 배우자 등 왜 엄청난 거짓말을 서슴없이 하는지 실험을 통해 과학적으로 입증됐다”고 말했다.
영화 속 리카뿐 아니라 사회 곳곳에서 거짓말을 일삼는 사람이 속출한다. 전문가들은 제3자 관점에서 자신을 바라볼 수 있는 계기를 자주 마련해야 거짓말에 대한 각성도 달라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김지혜 기자 jihy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