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정보통신망 인프라 구축사업이 네트워크 용량 과다산정 논란에 휩싸였다. 중소 장비업계는 지금도 장비 이용률이 30% 미만인데 경기도청이 이를 10배 이상으로 늘려 발주를 예고, 특정 글로벌 대기업 외엔 입찰이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경기도청은 다른 시도 사례를 충분히 검토했고 미래 트래픽 증가를 대비해 내린 결정이라고 반박했다.](https://img.etnews.com/photonews/1706/968157_20170627150243_959_0003.jpg)
경기도 정보통신망 인프라 구축사업이 네트워크 용량 과다산정 논란에 휩싸였다.
중소 장비업계는 장비 이용률이 30% 미만임에도 경기도청이 10배 이상으로 늘려 발주를 예고, 특정 글로벌 대기업 외엔 입찰이 불가능하다고 비판했다. 경기도청은 다른 시도 사례를 충분히 검토했고 미래 트래픽 증가를 대비해 내린 결정이라고 반박했다.
232억원 규모 경기도 정보통신망 인프라 구축사업에 중소 장비업계 이의 제기가 잇따르고 있다. 4월 1차 규격공고 이후 42건, 2차 규격공고에서는 62건이 제기됐다. 2차 이의 접수 이후 경기도청이 대응 방침을 밝히면서 논란이 확대됐다.
경기도청은 1차 규격공고에서 현재 960Gbps인 본청 백본장비 용량을 13Tbps 이상으로 늘려 공지했다. 이의가 빗발지차 2차 규격공고에서는 10Tbps로 줄였지만 2차 이의접수 이후 12Tbps로 늘려서 발주할 계획이라고 공지했다. 현재 12배가 넘는 용량이다.
중소 장비업계는 슬롯당 처리용량 등을 고려하면 3.2Tbps, 향후 추가 용량을 반영하더라도 7Tbps면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국내 업체뿐만 아니라 대부분 글로벌 업체도 이에 동조하는 상황에서 12Tbps 이상 오버스펙을 요구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중견 국산업체도 입찰에 참여가 불가능하다.
장비업체 관계자는 “2차 이의제기 과정에서 용량을 늘려야 한다는 일부 업체가 있었고 경기도청이 수용했다”며 “같은 가격에 고가 장비를 납품하겠다는 것으로 대용량 장비를 납품하기 위한 특정 업체 전략일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경기도청은 특정 업체를 위한 규격은 결코 아니라고 반박했다. 향후 5년 이상 운영을 해야 하는 장비이기 때문에 미래 수요를 고려했고 강원도를 비롯한 16개 시·도 상황을 면밀히 비교·검토했다는 입장이다.
경기도청 관계자는 “사업자가 어떤 제품을 만드는지 일일이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특정 업체를 위한 규격을 정한 게 아니다”라면서 “미래에 어떤 일이 벌어질지 모르는 상황에서 용량 확대는 어느 정도 감안해야 하는데 '우리 장비가 못 들어가기 때문에' 이의를 제기하는 것은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 이용률이 30% 미만이라고 하지만 간혹 병목현상이 생겨서 업무 처리가 어려울 때도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중소 장비업계는 병목은 보안 장비 탓이지 네트워크 장비 용량 때문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경기도청은 7월 본공고를 할 예정이다. 공정한 입찰을 진행해야 한다는 중소업체 반발이 이어져 논란이 계속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다음 달 시행 예정인 '네트워크 장비 규모산정 표준'을 주목해야 한다고 충고한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는 과다 용량산정을 막기 위해 '네트워크 장비 규모산정 표준'을 개발했다. 이를 'IT네트워크 장비 구축 운용지침(고시)'에 포함, 다음 달부터 의무화한다. 경기도청 사업과 같은 논란이 줄어들지 주목된다.
![경기도 정보통신망 인프라 구축사업이 네트워크 용량 과다산정 논란에 휩싸였다. 중소 장비업계는 지금도 장비 이용률이 30% 미만인데 경기도청이 이를 10배 이상으로 늘려 발주를 예고, 특정 글로벌 대기업 외엔 입찰이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경기도청은 다른 시도 사례를 충분히 검토했고 미래 트래픽 증가를 대비해 내린 결정이라고 반박했다. ⓒ게티이미지뱅크](https://img.etnews.com/photonews/1706/968157_20170627150243_959_0002.jpg)
<경기도청 정보통신망 인프라 구축사업 논란 내용>
안호천 통신방송 전문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