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커창 중국 총리 "4차 산업혁명 시대, 경제 세계화가 상생 이끈다"

리커창 중국 총리가 4차 산업혁명 시대 동반 성장 핵심 요소로 경제 세계화와 자유무역을 꼽았다. 규제는 불평등을 낳고 자유무역이야말로 공정의 토대라는 주장이다.

리 총리는 27일 중국 랴오닝성 다롄에서 열린 제11차 하계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에서 기 같이 밝혔다.

리커창 중국 총리(사진:세계경제포럼 홈페이지)
리커창 중국 총리(사진:세계경제포럼 홈페이지)

이번 포럼은 '4차 산업혁명과 포용적'성장을 주제로 열렸다. 리 총리는 개막연설에서 “신산업과 신기술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은 이전보다 많은 기회를 인류에게 제공한다”며 “포용적 성장을 위해서는 경제 세계화를 수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길이 평평하지 않은 것을 탓한다면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며 “경제 세계화를 선도해 무역과 투자를 자유화하고 국제무역 규칙을 개선해 모든 국가에 권리, 기회, 규칙의 평등을 보장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중국은 최근 자국 경제를 우선하며 보호무역주의를 강화하고 있는 미국에 대응해 국제무대에서 경제적 영향력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 올해 초 스위스에서 열린 다보스포럼 연차총회에서 시진핑 주석이 나서 경제 세계화를 주창한 바 있다.

리 총리는 “인터넷화, 디지털화, 지능화로 대표되는 새로운 산업혁명은 모두에게 전보다 더 평등한 참여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중국은 세계화 조류에 맞춰 끊임없이 개발을 확대하고 포용적 성장 전략을 실현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정은기자 je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