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단상]산단 열병합발전 확대해야

[ET단상]산단 열병합발전 확대해야

지구가 뜨겁다. 온난화로 기온이 상승, 대구에서도 바나나가 열린다. 세계는 지구 온난화를 막고자 기후 협약을 통해 온실가스 발생량을 줄이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파리협약 탈퇴 선언으로 불확실성이 높아졌다. 그렇다고 유럽연합(EU) 등 대다수 선진국과 중국이 기후 변화 협정을 인정하는 마당에 우리나라가 탈퇴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오는 2030년 온실가스 발생량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 감축해야 하는 것은 오늘날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다.

문재인 정부는 고리 원전 1호기를 영구 정지시켰고, 신규 원전 건설을 백지화한다는 입장이다. 늘어나는 전력 수요와 전기요금 인상은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가. 우리나라는 거의 수입에 의존하는 에너지 취약 국가다. 그렇기 때문에 에너지 안보·경제·환경 가운데 안보를 제일 중시해야 한다.

탈원전, 탈석탄의 대안은 신재생에너지가 될 수 없다. 실질로는 가스발전이 고려될 것이다. 가스발전은 도입처, 인수 시설, 배관 설비 등 인프라 확충이 필요하다. 수입처가 단일화될 우려가 있어 에너지 위기 때 가장 취약하다. 가스발전은 이용 공간이 넓어 폭발 등 대형 재해가 우려되지만 석탄발전은 운송·저장·연소 시 매우 안전하다. 이런 점을 감안할 때 미세먼지 잡겠다고 석탄발전을 모두 정지시킬 수는 없다.

노후화된 석탄발전은 정지시키고 송전탑 문제 및 송전 손실 등을 감안해 집중화된 석탄발전소를 점차 줄여야 한다. 대안은 분산 전원 확대다. 그렇다고 도시에 분산형 발전소를 건설하는 것은 옳지 않다. 전기를 생산한 지역에서 효율 이용하는 것이 분산 전원의 목적이다.

산업단지 열병합발전이 분산형 전원의 실질 대안이다. 산업단지는 증기와 전기가 동시에 필요하다. 개별 보일러 가동을 억제하고 집단으로 열과 전기를 생산 공급, 에너지 이용 효율을 90% 수준까지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중소업체의 산업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다.

열병합발전 연소 장치는 순환유동층보일러(CFBC)로 낮은 온도(섭씨 800도)에서 여러 번 완전 연소시켜서 유해 물질을 대부분 기준치 이내로 내보낸다. 주 연료인 유연탄과 청정에너지인 바이오매스(목질계)를 추가 설비 없이 혼합 사용할 수 있다. 18.8%의 온실가스 저감 효과도 가져온다. 현재 바이오매스는 주로 수입산 우드펠릿으로, 온실가스 저감 효과는 앞으로 해외 플랜테이션 사업과 연계해 해외 감축 분으로 인정받도록 강구해야 한다.

최근 바이오에너지 의무공급량 제한(REC 총량의 30% 이내)에 관한 입법 발의안은 문제가 있다. 신재생에너지 보급은 그 나라의 국토 지형이나 자연 조건 등에 따라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인위 규제는 신재생에너지 보급에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국토의 70%가 산이어서 건전한 산림 유지가 필요하다.

정부는 전국 산림 면적 630만헥타르의 약 22.2%인 140만헥타르를 30년 주기로 숲 가꾸기 사업을 한다. 이때 생산되는 간벌목은 연간 280만톤 규모로 열병합 연소 시설 10~15기 물량이다. 수거 체계를 확립해 이용함으로서 산불·수해 피해 방지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정부, 지방자치단체, 열병합 업체, 산주 및 지역 주민 공동으로 간벌목 활용 방안을 모색할 것을 제안한다. 매년 수천억원을 투입해 산출되는 간벌목은 생산(간벌)→수집→변환(치핑)→운송→연소 단계로 활용할 수 있다.

에너지는 기술 개발이나 활용 방안 개선 없이는 이용 효율을 높이지 못한다. 이에 따라서 유관 기관 공동의 노력으로 전개되는 목질계 연료 사업이야 말로 분산 전원으로서 산업단지 열병합발전의 확대를 위한 지속 가능한 에너지 이용 사업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고영균 한국열병합발전협회 회장 kcga@cho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