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 태양으로도 불리는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건설 사업이 공사 지연과 예산 부족 등으로 난항을 겪고 있다고 일본 마이니치 신문이 17일 보도했다.
ITER 사업은 태양처럼 핵융합 반응을 일으켜 에너지를 생산하는 실험로다. 땅 위의 태양으로도 불린다. 한국, 미국, 중국, 유럽연합(EU) 등 7개국이 2007년부터 프랑스 남부 카다라슈에 건설 중이다.
ITER은 2035년 본격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건설 지연, 비용 증가 등에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예산 감축으로 난항을 겪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ITER 건설 작업은 180㏊ 부지에 진행 중이며 완성 시 높이 및 지름 30m, 중량 2만3천t에 이른다. 필요한 부품을 7개국이 나눠 제작한 뒤 현장인 카다라슈에서 최종 조립을 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우리나라는 ITER 토카막 장치(자기밀폐형 핵융합장치) 조립에 사용되는 장비를 공급한다.
이 사업에서 각종 부품 제조와 수송을 가맹국이 분담하다보니 사업일정이 늦춰지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이미 가동 목표도 늦춰진 상태다.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는 본 시설 가동은 당초보다 9년 늦은 2035년으로 미뤄졌다. 총사업비는 200억 유로(약 25조8800억 원)로 당초 계획보다 50억 유로 늘어났다.
![ⓒ게티이미지뱅크?](https://img.etnews.com/photonews/1707/975432_20170717200046_702_0002.jpg)
문보경 산업정책부(세종)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