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스마트홈에서 음성인식 허브 역할을 담당할 패밀리허브](https://img.etnews.com/photonews/1708/986342_20170822151325_863_0001.jpg)
삼성전자가 2020년까지 가전 전 제품에 스마트 기능을 탑재하며 연결성을 확대한다. 사물인터넷(IoT)과 인공지능(AI), 음성인식 등 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제품과 서비스 혁신에 나선다. 이 같은 시도를 통해 스마트홈 시대를 선도하겠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내달 1일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국제가전박람회(IFA) 2017'에서 스마트홈 서비스를 대거 선보인다고 22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2020년까지 가전 전 제품에 스마트 기능을 탑재해 연결성을 확대하고, 개별 스마트 가전 사용자 경험을 강화해 기기간 또는 서비스 연동이 주는 부가가치를 극대화할 예정이다. IFA에서는 IoT와 AI를 적용한 가전과 함께 소비자 입장에서 시나리오를 마련해 전시할 계획이다.
![올해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7에서 선보인 패밀리허브](https://img.etnews.com/photonews/1708/986342_20170822151325_863_0002.jpg)
대표 스마트 가전인 '패밀리허브' 냉장고는 자연어 처리가 가능한 음성인식 기반 인공지능 기능을 적용해 주방 공간에 최적화된 허브 역할을 하도록 디자인했다. 향후에는 집안에 있는 여러 제품을 연결해 음성으로 제어하도록 진화할 예정이다. 예를 들어 음식준비로 더러워진 주방에 로봇 청소기를 불러 작동시키고, 요리하면서 세탁실에 갈 필요 없이 추천 세탁코스를 안내 받아 세탁기를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삼성전자는 개별 제품 혁신에 '삼성커넥트'를 더해 스마트홈 구축에 박차를 가한다. 삼성커넥트는 기기 종류, 운용체계와 관계없이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연결된 모든 제품을 하나의 통합 앱으로 제어한다. 현재 삼성전자 제품을 비롯, 스마트씽즈와 연동 가능한 약 130개 제품을 제어 가능하며(미국 기준),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빅스비를 적용한 삼성 스마트폰에서는 삼성커넥트 앱을 음성인식으로 제어할 수 있어 한 차원 높은 서비스가 가능하다.
향후 삼성전자 스마트폰은 스마트홈 구축에 있어 다양한 기기를 제어하는 AI 비서 역할을, 패밀리허브는 주방 음성인식 허브로서 기능을 한다.
삼성전자는 또 스마트 가전 연결성을 활용해 시행중인 '인공지능형 원격 진단 서비스'를 삼성커넥트 앱과 연계해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다. 현재는 스마트가전에서 수집한 각종 정보와 분석결과를 서비스센터에서 제공받아 원격 진단한다. 하지만 내년에는 삼성전자 스마트폰을 통해 스마트 가전제품 문제점을 실시간 파악하고 해결하는 가이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실외기에 이상 고온이 감지되면 소비자가 당장 냉방성능 저하를 느끼지 못해도 스마트폰으로 사용자에게 실외기 주변을 점검해 보라는 가이드를 제공하고, 소프트웨어적 조치가 가능한 부분은 원격으로 수리한다.
지난 7월부터 미국 판매를 시작한 '삼성커넥트홈' 역시 삼성전자 스마트홈 구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다.
삼성커넥트홈은 와이파이 공유기와 스마트씽즈 허브 기능 2가지 모두를 제공한다. 여러 대를 연결해 집안 곳곳에 끊김 없는 와이파이를 제공하고, 스마트씽즈와 연동 가능한 약 130개 기기를 연결해 스마트홈 환경을 조성한다.
이 제품은 삼성커넥트홈, 삼성커넥트홈 프로 2종으로 미국·캐나다·유럽 등에 순차 출시하며, 한국을 포함한 기타 시장도 도입 검토 중이다.
삼성전자는 외부 생태계와 연동을 강화하기 위해 글로벌 최대 회원사를 확보한 '오픈 커넥티비티 재단(OCF)' 주축 멤버로서 스마트홈과 IoT 플랫폼 표준화도 힘쓴다. 알렉사·구글홈과 같이 다른 업체와 연동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외부와 협업도 강화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업계 최초로 스마트TV, 패밀리허브, 에어컨에 OCF 인증을 받았고, 연내 세탁기·오븐·로봇청소기·공기청정기 등 전 가전제품으로 인증 확대를 추진한다. 또 내년부터 출시하는 삼성전자 스마트가전 전 제품에 OCF 규격을 탑재한다.
삼성전자는 아마존 알렉사와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로봇 청소기 등의 가전을 연계하고, 구글홈과는 로봇청소기를 연동해 미국에서 음성 제어 서비스를 운영한다. 한국에서는 SK텔레콤 '누구', KT '기가지니' 서비스를 통해 삼성 에어컨, 세탁기, 청소기 등 다양한 스마트 가전에 대한 음성 제어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다.
구성기 삼성전자 생활가전 사업부 상무는 “인공지능, 음성인식, 클라우드 등 IoT 관련 기술은 우리가 예측하는 것 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발전될 것”이라면서 “삼성전자는 기술적 발전이 소비자 일상에 의미 있는 변화를 가져오도록 기여하고, 업계 생태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권건호 전자산업 전문기자 wingh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