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참여예산제도가 시행됐지만 지방자치단체별 시행 실적은 저조하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소병훈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주민참여예산제 운영 현황'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2~2016) 17개 시도 본청의 연도별 주민참여예산 위원회 평균개최횟수는 3.6회에 불과하다. 설명회와 공청회 평균개최횟수는 4.1회다. 226개 기초지방자치단체 위원회 평균 개최횟수는 1.9회, 설명회와 공청회 평균 개최횟수는 1.2회다.
![소병훈 더불어민주당 의원](https://img.etnews.com/photonews/1710/1000604_20171009135403_233_0001.jpg)
본청의 연도별 위원회 평균개최 횟수가 가장 적은 시도는 강원이다. 최근 5년 동안 단 한 번도 위원회를 개최하지 않았다. 대구(0.8회), 경북(1회), 전남(1.4회), 대전(1.6회)이 뒤를 잇는다. 가장 많이 개최한 시·도인 광주는 매년 10회 꼴로 위원회를 개최했다.
설명회와 공청회는 최근 5년간 단 한 번도 개최하지 않은 시도가 부산·광주·세종·강원·충북·전북 등 6곳에 달했다. 충남이 연평균 9회로 가장 많다.
본청을 제외한 226개 기초지자체는 최근 5년간 주민참여예산 위원회를 한 번도 개최하지 않는 곳이 56개(24.8%)다. 연도별 평균 개최횟수가 1회 이상 개최한 기초지자체도 절반을 조금 넘는 129개다. 설명회와 공청회는 절반이 넘는 116개(51.3%) 지자체가 단 한 번도 개최하지 않았다. 매년 평균 1회 이상 개최한 곳은 전체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70개다.
소 의원은 “지자체 합동평가지표를 반영해 개최 실적이 저조한 지자체 대상으로 컨설팅을 시행하는 등 시민 행정 참여가 활성화되도록 다양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면서 “지방자치를 한 단계 발전시키는 적기”라고 강조했다.
[전자신문 CIOBIZ] 신혜권 SW/IT서비스 전문기자 hk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