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물·금형 등 제조뿌리산업 기업이 지적재산권(IP) 확보를 통한 '특허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한 지식재산권 관련 공제사업 추진부터 특허 분쟁에 따른 자체 대응 방안 마련 등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움직임이 한창이다.
중소기업중앙회는 18일 특허청, 한국지식재산보호원과 공동으로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 본회에서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혁신기술의 IP보호 전략 세미나'를 개최했다.
최윤규 중기중앙회 산업지원본부장은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기술혁신은 매우 빠르고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어 변화에 흐름에 국내 중소기업이 얼마나 빠르게 합류하느냐가 중요하다”면서 “앞으로 특허청 등 여러 기관과 더불어 4차 산업혁명 전환기 다양한 지식재산 관련 이슈에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중기중앙회가 2015년 특허청과 공동으로 중소기업 경쟁력 지식재산 9대 협업과제 발굴 이후 중소·중견기업의 특허경영을 지원하기 위해 열렸다.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혁신기술 △4차 산업혁명시대 기업의 특허경영 전략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IP 보호 지원 정책 등이 주요 주제로 다뤄졌다.
이상지 KAIST 교수는 “물리·디지털·바이오 등 3대 분야에서 다양한 혁신으로 상상에 머물렀던 일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면서 “우리 중소기업도 눈에 보이지 않는 수많은 융합기술을 눈에 보이는 지식재산 권리로 만들어 창고에 쌓아가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중소기업계 참여도 활발하다. 중기중앙회는 지난해부터 김기선 자유한국당 의원과 공동으로 중소·중견기업 특허공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공제사업 도입을 위한 발명진흥법 일부개정안은 현재 국회 상임위를 통과해 법사위 심사를 앞두고 있다.
양옥석 중기중앙회 제조뿌리산업부장은 “특허공제 사업이 도입되면 특허 문제 등으로 수출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중견기업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특허청과 지식재산위원회 등 협업을 통해 중소·중견기업 특허 경영을 위한 지원활동을 활발히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유근일기자 ryuryu@etnews.com
-
류근일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