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업계가 가상화폐 기반 기술인 블록체인을 활용한 세계 첫 상용화된 공동 인증체계를 구축했다.
블록체인의 다른 말은 분산장부 기술이다. 인터넷거래에서 참여자들이 모두 주체가 돼 신뢰기관 역할을 한다. 제3의 인증기관이 사라진다. 이런 분산장부 기술에 기반해 해외송금, 트레이딩, 보험, 등 금융업권 전 영역에 걸쳐 적용이 가능하다.
실제 세계적으로 약 40개 이상의 블록체인 컨소시엄이 활동 중이다. 다양한 업권별·업무별 로컬(local)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성이 활발하다. 이런 네트워크간 연결이 확대되면서 금융산업의 구조적 변화가 예상된다.
우리나라는 금융투자업계는 블록체인 공동인증 서비스에 주목했다. 거래에 바탕이 되는 인증 서비스를 시작으로 청산결제 업무를 비롯한 자본시장 전반으로 블록체인 활용범위 확대가 용이할 것으로 판단했다.
이에 자본시장을 중심으로 컨소시엄이 처음 출범한 지 1년 만에 세계 최초로 상용화된 블록체인 공동인증 서비스 '체인ID(Chain ID)'를 31일 선보였다.
체인ID는 현재 시범서비스에 참여한 11개 증권사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에서 이용할 수 있다. 국내 주요 11개 증권사가 참여했다.
체인ID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은 안드로이드 버전이 먼저 출시됐고, iOS버전은 심사 중이다.
비대면 계좌 개설을 원하는 이용자가 각 증권사 MTS에 접속하면 인증 과정이 기존 공인인증서 활용과 체인ID 개설 2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기존 공인인증서를 이용할 수도 있고, 체인ID를 새로 만들 수도 있다.
11개 증권사 역시 순차적으로 MTS에 오픈한다. 계좌 조회 적용을 시작으로, 연내 매매까지 체인ID로 이용이 가능해질 예정이다.
황국현 유안타증권 상무(CIO협의회장)는 “11개 증권사로 시작하지만, 참여회사 수는 계속 늘어날수록 편의성은 더욱 확대될 것”이라며 “블록체인은 태동기인만큼 금투업계에서 다양한 비즈니스모델이 더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먼저 연간 수십억 원대 인증 비용이 절감된다. 증권회사에서 기존에 사용하는 인증서비스는 제3의 공인인증기관을 통해 인증이 이뤄졌다. 이때 공인인증서 발급, 해지, 정지 등 인증서 관리에 비용과 노력이 투입됐다.
이용자 입장에서도 최초 인증 이후에는 타 금융기관 이용을 위한 인증서 등록과정에서 계좌확인, ARS전화, 일회용비밀번호(OTP)인증 등 복잡한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된다.
체인ID는 인증서비스 참여기관 공동 모바일 앱을 통해 한 번에 인증절차를 통해 참여하는 모든 금융기관이 인증이 가능하다. 개인 키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되며, 단말기 변경주기와 비슷한 3년으로 유효기간이 설정된다.
현재는 모바일 인증 시스템이 구축됐으며, 향후 PC 공동 인증 체계 구축도 추진하고 있다.
김명희 경제금융증권 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