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치매 정복 어디까지 왔나...이건호 조선대 치매국책연구단장 인터뷰

이건호 조선대 치매국책연구단장은 “고령 한국인 표준 뇌지도와 노인의 뇌 자기공명영상)을 비교하면 치매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건호 조선대 치매국책연구단장은 “고령 한국인 표준 뇌지도와 노인의 뇌 자기공명영상)을 비교하면 치매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건호 조선대 치매국책연구단장은 "고령 한국인 표준 뇌지도와 노인의 뇌 자기공명영상)을 비교하면 치매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건호 조선대 치매국책연구단장은 "고령 한국인 표준 뇌지도와 노인의 뇌 자기공명영상)을 비교하면 치매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인의 표준 뇌지도와 치매환자의 뇌 사진을 비교하면 치매 조기진단이 가능해집니다. 뇌지도는 치매 진단 예측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건호 조선대 치매국책연구단장은 “건강한 노인의 뇌 영상 1044건으로 65세부터 85세까지 '고령 한국인 표준 뇌지도'를 처음으로 완성했다”면서 “표준 뇌 지도와 노인의 뇌 자기공명영상(MRI)을 비교하면 치매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그는 “치매 환자는 뇌의 특정 부위가 줄어드는 특징이 있는데 우리나라 표준 뇌 지도와 노인의 뇌를 비교해 특정 부위의 축소 또는 확대가 기준치를 벗어나면 치매 발병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면서 “의료진의 경험과 주관적 판단이 아니라 소프트웨어로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단장은 치매 발병 위험군을 구분한 뒤 혈액 검사와 뇌 MRI를 통한 단계적 검사를 하면 치매환자를 최소 30% 이상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연간 10조원 이상의 사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수치다.

이 단장이 이끄는 연구단은 미래창조과학부가 주관하는 치매 조기진단기술개발 국책사업에 선정돼 지난 2013년부터 치매 예측기술 및 뇌지도 구축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치매유전자(APOE4) 위험도를 키우는 유전변이 진단과 혈액세포에 존재하는 극미량의 DNA 분석을 통한 치매 발병 위험도를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 단장은 “진단 비용이 뇌 영상 검사보다 훨씬 저렴하다”면서 “임상 유효성 평가가 완료되는 대로 전 국민을 대상으로 치매 예측 및 조기진단기술을 시범서비스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치매국가책임제와 관련, 범용성 높은 치매 예측 및 조기진단기술을 개발해 생애전환기 국민건강검진이나 보건소 등을 통해 치매 위험군을 조기에 선별하고 각종 예방책을 선제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발병을 억제하는 '2020 생애전환기 국민건강검진체계' 도입을 제안했다.

이 단장은 “정부의 치매국가책임제가 단순한 구호에 그치지 않고 경제사회적인 문제해결의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서는 연구개발과 복지정책을 통합적으로 바라보는 미래지향적인 시각을 가지고 정책을 수행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광주=김한식기자 h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