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수준 높을수록 치매 위험 줄어든다'

교육수준이 1년 늘어날 때마다 치매 위험이 11%씩 줄어든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과 사이언스 데일리는 휴 마커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임상 신경과학 교수 연구팀이 '멘델 무작위 분석법'을 이용해 이같은 내용의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7일 보도했다.

멘델 무작위 분석법이란 특정 질병의 환경적 위험 인자와 그와 관계가 있는 유전자 변이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해 인과 관계를 추론하는 연구방법이다.

연구팀은 치매 환자 1만7000여명과 건강한 사람 3만7000여명의 유전자를 분석해 흡연, 알코올, 커피, 비타민D, 교육수준 등 환경적 치매 위험요인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지금까지 알려진 900여개의 유전자 변이가 치매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교했다.

그 결과 교육 수준 차이와 연관이 있는 유전자 변이가 치매 위험을 평가하는 데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교육수준이 치매 위험 감소와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는 가장 강력한 증거라고 마커스 교수는 지적했다.

그 이유는 인지 예비능때문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인지 예비능이란 뇌의 노화를 대비해 평소에는 사용되지 않는 뇌의 대체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능력을 말한다. 교육이 뇌의 대체 네트워크를 개선해 인지 예비능을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영국 의학 저널(British Medical Journal) 최신호에 발표됐다.

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