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해킹피해 가상화폐, 환수 못 하는 이유는...

일본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가운데 하나인 코인체크가 해킹당해 5억3000만달러(약 5700억 원) 상당 NEM(뉴이코노미무브먼트) 코인이 사라진 사건은 여러 가지 의문을 낳고 있다. 그중에서도 일반인이 궁금해하는 가장 큰 의문 중 하나가 “해킹당한 코인이 들어간 계좌를 알면서도 돌려받지 못하는 이유”다.

NEM을 관리·보관하는 국제단체 NEM파운데이션은 도난당한 NEM을 추적할 수 있도록 '태그(tag)'를 붙여놓고 있다. 해킹당한 NEM이 입금되는 계좌는 이 표시를 검색하면 금세 알아낼 수 있다. 문제는 입금된 계좌를 파악하더라도 돌려받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강도가 은행에 침입해 돈을 강탈한 경우라면 강탈한 돈을 넣어둔 은행계좌를 알면 사법기관이 나서 환수, 피해자에게 돌려줄 수 있다. 그러나 범인들이 훔쳐간 NEM을 보관하고 있는 곳은 정확히 말하면 계좌가 아니고 '(전자)지갑'이다.

가상화폐 가격이 오르며 채굴형 악성코드가 늘었다. GettyImages
가상화폐 가격이 오르며 채굴형 악성코드가 늘었다. GettyImages

신원이 확인돼야 개설할 수 있는 은행계좌와 달리 지갑을 손에 넣는 데는 본인 확인이 필요 없다. 신분을 밝히지 않더라도 가게에서 지갑을 살 수 있는 것처럼 누구라도 내려받기를 하면 손쉽게 지갑을 손에 넣을 수 있다.

도난당한 NEM이 들어있는 지갑을 알더라도 주인이 누구인지는 알 수 없는 셈이다. 이 때문에 코인체크나 NEM파운데이션이 지갑 주인을 찾아내거나 반환을 요청하기 어렵다.

가상통화 토대로 거래 이력을 공유하는 '블록체인'을 NEM파운데이션이 새로 만들어 도난당한 NEM을 강제로 코인체크에 반환하도록 하는 건 기술적으로는 가능하다고 한다.

그러나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NEM파운데이션은 다시 만들지는 않는다는 방침이다. 부당하게 빼앗긴 경우라도 “거래 자체가 없었던 것”으로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일본 경시청은 1일까지 코인체크로부터 통신기록(로그)을 제출받았다. 불법 접속 금지법 위반 혐의 등을 염두에 두고 통신기록 분석을 추진하고 있지만, 과거의 사건과 마찬가지로 수사는 난항이 예상된다.

조성묵기자 csmoo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