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드론 혁명, 이제부터가 시작이다

박명식 한국국토정보공사 사장
박명식 한국국토정보공사 사장

드론 시대가 왔다. 2015년 200여명의 사망·실종자를 낸 중국 톈진항 폭발 사고 현장을 실시간으로 전한 건 드론이었다. 사고 현장에서 맹독성 시안화나트륨이 유출되면서 인근 주민 대피령이 내려졌다. 드론이 아니었다면 취재가 불가능했다. 같은 해 사망자 8000여명이 발생한 네팔 지진 현장에서도 드론은 험준한 히말라야 산맥을 넘나들며 인명 구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군사 목적으로 개발된 드론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만나면서 사람들 생활 깊숙이 자리 잡아 가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세계 드론 시장은 연 29% 성장, 2026년이 되면 820억달러(약 88조6000억원) 규모로의 성장이 전망된다. 각국 정부도 드론 확산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일본 정부는 올해부터 드론으로 화물을 배송하는 서비스를 실시하고, 주요 도시에서는 2020년부터 드론 화물 수송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중국도 지난해부터 드론 소유주 실명 등록제를 실시, 관리를 체계화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현재 700억원대 수준인 국내 드론 시장 규모를 2026년까지 4조4000억원 규모로 키우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국가·공공기관의 다양한 업무에 드론을 도입, 앞으로 5년 동안 3700대 수요처를 발굴하고 3500억원 규모의 시장을 창출하겠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2026년까지 17만400명의 일자리 창출과 21조1000억원의 생산 효과를 유발할 것으로 관측했다.

드론은 무인택배부터 농업·건설업과 방송으로까지 활용 분야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드론 가격이 많이 저렴해진 데다 휴대하기가 용이해서 사용이 쉬워졌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 대표 활용 분야는 실종자 수색, 군사 정찰, 측량·건설 관리 등이다. 사람이 접근하기 어렵거나 주변이 어두워서 물체 구별이 어려울 때 드론 활용도가 크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인명 구조용 드론은 해안가를 비행하면서 조난자나 실종자 위치를 파악, 구조대에 알려준다. 건설 현장에서는 드론이 현장을 비행하면서 작업 현장 측량 및 진행 상황을 점검, 실시간으로 현장 작업자에게 전달한다. 실제로 미아, 실종 치매 노인 등을 찾는데 적외선 탐지기가 장착된 드론을 시범 운용한 결과 헬기와 인력만을 투입했을 때보다 작업 시간이 83%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국토정보공사(LX)는 지적 측량이 어려운 도서·산간 지역이나 상습 침수 지역에 드론을 투입한다. 전국의 국토 현황을 조사하고 정보를 체계화, 국토 관리와 재난·재해 안전망 효율 구축에 앞장선다. 드론을 활용하면 기존의 항공 촬영에 비해 30~50% 이상 비용이 절감되고 촬영기간도 4배 이상 줄기 때문이다.

드론을 투입, 일제강점기 때 잘못 표기된 땅과 섬의 위치나 형태 등을 바로잡고 있기도 하다. 그 결과 지적 재조사 사업 지구당의 업무 효율성이 1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드론 활용으로 얻은 영상과 공간 정보 데이터를 통합, 올해 상반기에 시설물 점검이 가능한 '드론 활용 국토 정보 모니터링 플랫폼'을 서비스할 계획이다.

정보기술(IT) 혁명이 소프트웨어(SW) 혁명이었다면 드론은 하드웨어(HW) 혁명이라고 할 수 있다. 드론은 공간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다는 점에서 '확장성'뿐만 아니라 '미래 지향성'까지 고려된 블루칩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드론 산업은 복잡한 규제 때문에 발전이 더뎠다. 이에 따라 정부는 내년 하반기부터 '저위험 규제 프리' '고위험 집중 관리' 방식으로 드론 분류 기준을 개선한다. 유형별 안전 관리를 통해 드론 상용화를 확대한다. 드론 산업이 차세대 성장 동력을 발굴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혁신 성장의 마중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정부와 공공기관이 규제를 혁신, 세계 경쟁에서 앞서 나갈 수 있도록 속도를 내야 할 때다.

박명식 한국국토정보(LX)공사 사장 lx0801@lx.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