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간 이용자 요금으로 인터넷기업 성장 지원한 격"

"20년간 이용자 요금으로 인터넷기업 성장 지원한 격"

국내 인터넷 기업 성장이 이용자가 요금을 부담한 결과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인터넷 이용자가 20년간 일종의 보조금을 지급해 온라인 대기업을 키웠고 이용자에겐 가계통신비 부담으로 전가됐다는 것이다.

이 같은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경직된 망 중립성 원칙을 완화해 콘텐츠 사업자도 망 투자비를 분담해야 한다는 해법을 제시?다.

김성환 아주대 경제학과 교수는 26일 방송통신위원회가 주관하는 인터넷상생발전협의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교수는 “망 투자비를 이용자가 비대칭적으로 많이 부담하는 구조가 20년간 지속됐다”며 “이용자는 통신비에 부담을 느끼게 된 것”이라고 진단했다.

선거철마다 정치권이 가계통신비 인하를 선심성 공약으로 제시하는 것도 이같은 구조적 문제 때문이라고 김 교수는 지적했다.

2011년 제정된 망 중립성 가이드라인은 트래픽 관리 투명성을 보장하고 트래픽 전송 차별을 없앰으로써 콘텐츠 사업자 육성에 도움이 됐지만 망 이용대가를 현실화하지 못함으로써 결국 그 부담을 이용자가 지게 됐다는 것이다. 콘텐츠 사업자가 부담을 나눠가졌다면 이용요금이 인하됐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김 교수는 “양면시장 관점에서 콘텐츠 사업자를 파격 우대하는 게 산업 활성화 전략으로 인정된다는 게 많은 연구 결과”라면서 “이는 이용자 부담 증가라는 대가를 치른 것”이라고 지적했다.

롱텀에벌루션(LTE)에 비해 3배 이상 투자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5세대(5G) 이동통신 시대에 망 중립성 원칙을 완화해 투자비를 통신사, 콘텐츠 사업자, 이용자가 분담하는 방안이 해법으로 제시됐다.

신민수 한양대 교수는 “5G 시대 정보통신기술(ICT) 생태계 선순환을 위해서는 시장 참여자 간 수익·비용 배분이 공정하게 이뤄져야 한다”면서 “5G 투자유인을 높이고 이용자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망 중립성 원칙을 유연하게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협의회는 망 중립성과 제로레이팅을 주제로 토론했다. 방통위는 연말까지 인터넷 상생 관련 주제를 광범하게 논의, 정책에 반영할 계획이다. 이날 망 중립성에 대한 시각 차이도 확인했다.

오병일 진보네트워크센터 활동가는 “기기는 제조사가, 부가서비스는 서비스 제공자가, 통신망은 통신사가 투자하는 게 당연하다”면서 “이용자와 콘텐츠 사업자는 이미 망 사용료를 지불하는 만큼 망 중립성 이슈와는 무관하다”고 주장했다.

김용주 통신방송 전문기자 ky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