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中·日 중고폰 시장 양성화 비결은

중국 중고폰 업체가 밀집한 전자상가.
중국 중고폰 업체가 밀집한 전자상가.

중국과 일본은 '중고폰 시장 양성화'에 성공한 국가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상생 전략을 기반으로 탄탄한 중고폰 유통체계를 조성했다. 사후서비스(AS) 제도 개선 등 정부 제도 지원도 뒤따랐다.

중국 중고폰 시장 양성화 핵심은 대-중소기업 간 상생이다. 중국 IT매체 후슈왕에 따르면 중국의 한해 중고폰 시장 규모는 3000억위안(51조1000억원)을 육박한다.

후이서우바오는 중국 대표 중고폰 업체다. 2014년 스타트업으로 중고폰 시장에 진출한 이후 3년 만에 3억위안(약 510억5000만원)을 유치했다. 현재 기업가치는 2500억원을 웃돈다. 450만명 온라인 가입자를 확보, 월평균 수거량이 20만건 수준이다.

중고폰 평균 가격을 500위안(약 8만원)으로 책정, 합리적 가격을 제시했다. 화웨이·비보·차이나모바일·차이나유니콤·차이나텔레콤이 파트너십을 맺고 후이서우바오를 지원한 것이 성장 밑거름이 됐다.

아이후이서우는 후이서우바오의 강력한 라이벌이다. 2016년 말 전자상거래기업 징둥으로부터 4억위안(약 687억원) 투자 유치에 성공, 전국 200개 지점을 확보하며 빠르게 성장했다.

이후 레이후이서우가 전국에 'O2O 체험관' 4곳을 설립, 중고폰 수거지점 662곳을 확보하면서 경쟁 대열에 합류했다.

텐센트는 스마트폰 품질비교 업체 질러와 손잡고 '웨이후이서우'라는 중고폰 유통 플랫폼을 구축, 시장 활성화에 힘을 보탰다.

일본 중고폰 업체의 유통점.
일본 중고폰 업체의 유통점.

일본은 기존 유통 인프라를 활용한 사례가 많다. 게오는 전국 1000여개 DVD 대여점을 중고폰 유통 거점으로 활용했다. 북오프는 2013년 중고폰 시장에 진출, 전국 900여개 중고의류 매장을 중고폰 매장으로 탈바꿈해 탄탄한 고객 기반을 마련했다.

오크넷은 중고 자동차·오토바이 사업으로 시작해 중고폰까지 영역을 확장, 지난해 3월 증시 상장과 시가총액 4000억원 돌파 성과를 냈다.

일본 총무성은 '중고폰 활성화'를 핵심 과제로 추진해 가계통신비 인하를 유도했다. 중고폰 시장에 '등록 수리업자 제도'를 도입, 자국 기업을 중심으로 한 시장 형성을 도모했다.

등록 수리업자 제도는 제조사가 미리 정해 놓은 스마트폰 수리 기술·설비 기준을 중고폰 업체가 충족하면 직접 AS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게 핵심이다. 중고폰 고객관리는 물론 비용 절감, 대기시간 단축, 비정품 AS 문제를 해결하는 등 시장 양성화에 힘을 보탰다.

최재필기자 jpcho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