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분기(1∼3월) 한국 경제가 1% 성장했다. 지난해 4분기 마이너스(-0.2%) 성장에서 회복세로 돌아섰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 갈등 완화와 수출 호조로 성장세가 이어졌다. 다만 4월 속보치에 비해 0.1%포인트(P) 낮아졌다.
![ⓒ게티이미지뱅크](https://img.etnews.com/photonews/1806/1077612_20180601094845_011_0001.jpg)
한국은행이 1일 발표한 '2018년 1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분기 대비 1.0% 증가한 395조6058억원(계절조정계열)을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와 동일한 수준이다.
2016년 3분기 이래 처음으로 잠정치가 내려갔다. 3월 통계 추가 반영으로 4월 속보치보다는 떨어졌다. 건설투자는 1.0%P, 설비투자는 1.8%P 하락했다. 민간소비만 0.1%P 올라갔다.
구체적으로 민간소비는 0.7%로 작년 1분기 이래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수입차와 가전 등 내구재, 가방 등 준내구재 판매가 늘었다.
정부소비도 24분기만에 최고치인 2.2%를 기록했다. 건강보험급여비 등이 늘어서다.
건설투자는 성장세로 돌아서며 지난해 1분기 이해 최고치인 1.8%에 달했다.
설비투자는 3.4%로, 작년 2분기 이후 가장 높았다. 속보치보다는 다소 떨어졌다.
수출은 반도체와 기계류 중심으로 4.4%, 수입은 천연가스 등 위주로 4.9%를 기록했다.
업종별로 제조업은 1.6%로 지난해 3분기, 건설업은 2.1%로 지난해 1분기 이후 최고치를 찍었다,
서비스업(1.1%)과 부동산 임대(2.6%)는 호조를 기록한 반면, 음식 및 숙박은(-2.8%)로 13년 만에 가장 저조했다.
1분기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계절조정계열 기준)으로 전기 대비 1.3% 증가했다. GNI는 한 나라 국민이 일정 기간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임금, 이자, 배당 등 소득을 아우르는 값이다.
총저축률은 34.9%로 9분기 만에 최저치에 달했다. 국내총투자율은 31.4%로 전 분기보다 0.4%P 내렸다.
김영태 한국은행 국민계정부장은 “GDP 성장률이 속보치보다 다소 떨어진 측면은 있지만 지난 3월 중국 사드 사태가 해소되면서 중국인 입국자 수가 늘어난 것이 관련 업종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면서 “또 4월 제조업 생산이나 건설 경기 등이 전월 대비 증가세로 전환됐고 5월 통관 실적도 높은 만큼 앞으로도 양호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함지현기자 goh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