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전자 분야 주문자상표부착(OEM) 생산기업이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한 최대 피해자가 될 것이라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0일 보도했다.
OEM 생산은 통상 미국이나 유럽 등의 선진기업이 뛰어난 기술력과 디자인을 적용해 개발한 제품을 중국 등 인건비가 저렴한 국가에 위탁해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중국은 노동력의 숙련도가 뛰어나고 운수, 전력 등 사회간접자본이 잘 갖춰져 있어 선진국 기업이 가장 선호하는 OEM 생산 지역이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대규모 관세 부과로 중국 내에서 생산된 제품의 미국 수입 단가가 높아지게 되면 OEM 생산지로서 중국의 매력도는 떨어질 수밖에 없게 된다. 이 경우 선진국 기업들은 미국이 부과한 고율의 수입 관세를 피해 중국 대신 베트남, 캄보디아 등으로 공장을 이전할 수밖에 없다.
특히 대미 수출액이나 고용 창출 면에서 중국 경제에 막대한 기여를 하는 전자 분야 OEM 생산기업들의 타격이 클 것으로 전망됐다.
전자 분야 OEM 생산기업들은 지난해 2560억 달러어치의 전자제품을 미국에 수출했으며, 이는 전체 대미 수출액의 절반을 차지하는 규모다.
전자제품 수출 관련 제조업에 종사하는 노동자의 수는 8000만명 이상으로, 미국의 대규모 관세 부과로 수출에 타격이 올 경우 대량 해고가 불가피하다.
중국사회과학원은 미국이 고부가 전자제품과 기계류에 4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할 경우 중국의 대미 수출액이 35%, 1342억 달러가 감소하고 360만 명의 실업자가 발생할 것으로 우려했다.
실제로 세계 최대 규모의 전자제품 OEM 생산기업인 대만 폭스콘(훙하이<鴻海>정밀공업)은 지난해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중국 대신 미국에 LCD 제조 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중국이 산업구조 고도화로 미국 고율 관세의 예봉을 피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중국 경제 전문가인 루오 준은 "애플 아이폰처럼 중국 내에 대규모 공급망을 구축하고 있는 고부가가치 제품은 관세가 올라가더라도 중국을 떠나기 힘들다"며 "중국은 이러한 고부가가치 생산기업을 육성하는 산업구조 고도화로 미국과의 무역 갈등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지연기자 now2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