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트럼프, 사우디 국왕에 석유 200만배럴 증산요청…"동의받았다"

[국제]트럼프, 사우디 국왕에 석유 200만배럴 증산요청…"동의받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유가 안정을 위해 사우디아라비아에 석유 증산을 요청했고, 이에 사우디도 동의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방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국왕과 얘기를 나눴고, 이란과 베네수엘라에서의 혼란과 장애 때문에, 부족한 부분을 메우기 위해 사우디의 석유 생산을 대략 200만 배럴까지 늘려 줄 것을 요청한다고 그에게 설명했다"면서 "(석유) 가격이 높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살만 국왕은 동의했다!"고 덧붙였다.

미국이 이처럼 석유 생산을 늘려달라고 구체적인 요청을 하는 것은 드문 일이라고 AP 통신은 보도했다.

이는 이란 제재를 재개한 미국 정부가 동맹국들에 이란산 석유 수입을 금지하라고 한 조치와 연관된 것이라고 외신들은 전했다. 주요 석유 수출국인 이란의 석유 유통량이 줄면서 유가가 고공 행진을 거듭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대로 베네수엘라의 경제 혼란도 유가를 끌어올리는 원인이 되고 있다.

29일 미국의 기준 유가가 2014년 11월 이후 가장 높은 74.15달러에 마감된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사우디는 트럼프 대통령과 살만 국왕의 통화 사실을 인정했으나, 구체적 증산 목표치를 언급하지 않아 미국과 온도차를 보였다.

사우디 국영 SPA 통신은 "두 정상은 통화에서 석유 시장의 안정과 국제경제 성장을 유지하고자 노력할 필요성을 강조했다"면서 산유국들이 잠재적인 공급 부족을 보충해야 할 필요성에 대한 공통의 이해가 있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200만 배럴'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AP와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사우디는 현재 하루 1000만 배럴가량의 원유를 생산하고 있으나, 7월에는 생산량을 끌어올려 하루 1080만 배럴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최근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주요 산유국들이 다음 달부터 하루 100만 배럴을 증산하기로 합의한 데 따른 조치로 보인다.

다만 사우디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의 최고경영자(CEO)인 아민 나세르는 지난 25일 인도에서 기자들과 만나 하루 200만 배럴의 여유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와 일치하는 수준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석유 증산 압박은 국내 정치용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오는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원유 공급 부족과 여름철 수요 증가로 유가가 급등하면 유권자들이 등을 돌릴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국의 보통 휘발유 가격은 지난해 갤런당 2.23달러에서 올해 2.85달러로 크게 올랐다.

김명희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