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용 협동로봇 시장 활성화 계기가 마련됐다. 로봇자동화로 제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KIRIA·원장 문전일)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협동로봇을 설치한 작업장의 안전 여부를 인증해주는 '협동로봇 설치 작업장 안전인증제도'를 마련, 이달부터 시행한다고 25일 밝혔다.
협동로봇은 사람과 함께 작업할 수 있는 산업용 로봇이다. 센서와 전기신호로 주변 사물이나 사람을 인식하며 작동한다. 설치 공간이 좁아도 되는데다 이동 설치도 쉬운 것이 장점이다.
하지만 그동안에는 안전울타리(펜스)를 설치해야 한다는 산업안전법 규제로 이용이 어려웠다. 고용노동부가 2016년 4월 산업안전보건기준 제223조를 개정해 고용노동부 장관이 한국산업표준이나 국제표준에 부합한다고 인정할 때는 펜스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도록 했지만 인정을 위한 정확한 안전기준이 없었다.
이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로봇진흥원는 산학연 전문가가 모인 협동로봇 융합얼라이언스를 통해 협동로봇 안전점검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다. 고용노동부도 지난 4월 국내외 관련 표준을 기준으로 인증을 획득하면 펜스가 없어도 된다는 가이드를 제시했다.
로봇진흥원는 곧바로 협동로봇 설치 작업장 안전 인증 제도를 마련했다. 산·학·연·관이 협력해 만들어낸 규제개혁 성공사례다.
문전일 로봇진흥원장은 “협동로봇 설치 작업장 안전인증제도는 산학연관이 힘을 합쳐 로봇분야 규제를 개혁한 사례”라면서 “협동로봇 시장 확산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안전인증제 도입으로 협동로봇 시장이 활기를 띨 전망이다.
이달 초 제1호 안전인증 작업장도 나왔다. 직분사 인젝터 압입공정에 협동로봇을 설치한 두산인프라코어 인천사업장이다. 정부는 이미 올해 50대를 시범 보급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두산로보틱스, 한화정밀기계, 뉴로메카 등 협동로봇 업체들도 생산라인 가동률을 높이고 있다. 이들 기업은 연말까지 총 2500대 가량을 생산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진우 로봇진흥원 정책기획실장은 “인증제도 마련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 협동로봇이 속속 설치될 것”이라면서 “기업 인증신청 수요에 대비해 인증 심사원 및 관리 인력을 보강하고, 로봇도입 및 설치 기업을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도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로봇진흥원은 지난 19일부터 협동로봇 설치 작업장 안전인증 신청접수에 나섰다. 그동안 협동로봇을 도입하려면 해외 인증기관을 찾아야 했던 기업들도 국내에서 저렴하면서도 신속하게 인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문전일 원장은 “해외에서 인증을 받으려면 최소 3개월이 걸리지만 국내에서는 빠르면 2주, 늦어도 2개월 이내에 가능하고 인증 비용도 5분의 1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면서 “앞으로는 해외 인증기관과 상호 협력 체계도 마련해 국내 협동로봇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국제로봇연맹(IFR)은 지난해 세계 산업용 로봇 시장은 132억3000만 달러, 협동로봇 시장은 6억8000만 달러 규모를 형성한 것으로 집계했다. 오는 2025년에는 각각 246억2000만 달러와 92억100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대구=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