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창조경제혁신센터, 지역특화사업에서 지방창업허브까지

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혁신센터)는 기술창업 활성화, 중소벤처기업 과학기술 혁신 역량 강화를 위해 기획됐다.

2014년 9월 대구혁신센터 운영을 시작으로 2015년 7월까지 전국 17개 지역, 17개 혁신센터가 세워졌다. 혁신센터는 박근혜 정부 핵심 정책 '창조경제'를 수행하는 본거지로 주목받았다.

산업특성과 대기업 역량을 지역 특화사업에 초점을 맞춰 운영했다. 창업·스타트업을 대기업·정부·지방자치단체가 함께 지원하는 구조다. 대구는 정보기술(IT)·전자·섬유가 특화산업이고 삼성이 후원 대기업이다. 충북 특화산업은 바이오·뷰티로 LG가 후원했다.

전국 혁신센터 가운데 가장 먼저 설립된 대구 센터는 1년간 16개 벤처기업에 25억원 규모 투자를 했다. 충북은 스타트업 56개·중소기업 45개에 4110억원을 투자했다. 부산은 67개 기업을 지원해 145개 혁신상품을 발굴했다. 163억원 매출 성과를 얻었다. 전남은 6개 기업을 발굴·지원해 4150만원 매출을 올리고 27명을 채용 연계했다.

운영 1년 후 성과 효율성 의문이 제기됐다.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발전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었는지에 대한 지적이었다.

대통령 탄핵 정국이 되자 기업과 지자체는 혁신센터 예산을 서서히 줄였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며 창조혁신센터 기관명과 역할이 도마에 오르기로 했다.

혁신센터 전신인 창조경제타운 홈페이지 구축 시안이 논란에 휩싸인 데다 대기업 동원설까지 제기됐기 때문이다.

현 정부는 간판은 두고 기능을 바꾸도록 정리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이름에 매몰되기보다 혁신센터별 강점을 살리는 방향으로 조직을 개편, 내실을 다지기로 했다.

정부는 앞으로 혁신센터를 지방 창업 허브로 가꿔나갈 방침이다. 이를 위해 혁신센터별 역할을 일부 조정, 거점화할 계획이다.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는 기존 사물인터넷(IoT)·핀테크·게임에서 자율 주행,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핀테크, 정보통신기술(ICT)로 특화 분야가 변경됐다.

대전은 인공지능(AI), 첨단 센서, 전북은 농생명·식품, 서울은 디자인·패션·문화, 포항은 바이오, 인천은 헬스케어·드론 분야가 각각 추가됐다. 부산은 유통, 경남은 기계, 경기는 글로벌, 충남은 특허 서비스 전국 거점으로 육성된다. 서울과 전남 등은 소셜 벤처 스타트업을 발굴, 지원하는 선봉장을 맡는다.

이현수기자 hsoo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