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뇌연구원, 알츠하이머 치매 원인인 뇌염증 억제하는 신물질 개발

한국뇌연구원이 알츠하이머 치매 원인인 뇌염증을 억제하는 신물질을 찾아냈다.

한국뇌연구원은 허향숙 뇌질환연구부 퇴행성뇌질환 연구팀이 흥분성 신경조절물질인 도파민 구조를 기본으로 합성한 저분자 화합물(CA140)이 뇌염증 반응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24일 밝혔다.

세포수준에서 뇌염증을 조절하는 분자기전을 밝히고 약제 약물까지 찾아내긴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신경염증저널 11월호에 게재할 예정이다.

뇌의 면역반응으로 생기는 염증인 뇌염증은 치매와 같은 퇴행성뇌질환과 관련이 깊다. 특히 뇌염증을 일으키는 미세아교세포가 지나치게 활성화되면 신경 손상과 기억력 퇴화를 일을킨다.

뇌염증과 미세아교세포(신경세포 항상성을 유지하는 세포)를 조절하는 방법은 퇴행성뇌질환의 치료 전략 개발에 매우 중요하다. 치매환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치매치료제은 아직 지지부진하다.

한국뇌연구원 뇌질환연구부 퇴행성뇌질환 연구팀이 알츠하이머 치매 주요 원인인 뇌염증을 억제하는 신물질을 찾아냈다. 사진 왼쪽부터 허향숙 박사, 남영표 연구원, 김정연 박사, 이주영 연수연구원.
한국뇌연구원 뇌질환연구부 퇴행성뇌질환 연구팀이 알츠하이머 치매 주요 원인인 뇌염증을 억제하는 신물질을 찾아냈다. 사진 왼쪽부터 허향숙 박사, 남영표 연구원, 김정연 박사, 이주영 연수연구원.

연구팀은 먼저 뇌염증 마우스에 'CA140'라는 신물질을 처리한 결과 미세아교세포 내에서 면역반응의 신호물질인 사이토카인(뇌염증 유발에 관여하는 물질) 수치가 감소한 것을 확인했다.

뇌 속에 치매를 일으키는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이 과도하게 쌓이면 면역기능을 담당하는 미세아교세포가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되면서 뇌염증이 늘어나고, 결국 기억력이 퇴화되고 치매 같은 퇴행성뇌질환이 발병하게 된다.

허향숙 책임연구원은 “미세아교세포에서 'CA140'라는 물질이 도파민 수용체의 기능을 조절, 뇌염증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혔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주요 다국적 제약회사 치매치료제 임상 실패 사례]

한국뇌연구원, 알츠하이머 치매 원인인 뇌염증 억제하는 신물질 개발


대구=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