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되게도 우리나라 연구자로는 처음으로 국제가전박람회(IFA) 행사에 참여해 연설을 했습니다. 미래 혁신 기술을 세계에 선보이는 자리에 섰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기술력을 인정받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정환석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광네트워크연구그룹 박사는 지난 9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IFA 2018' 행사에서 우리나라 과학기술 위상을 세계에 떨친 연구자다.
IFA는 '모바일 월드 콩크레스(MWC)'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와 함께 어깨를 나란히 하는 유명 IT분야 박람회다.
정 박사는 'IFA 넥스트' 코너에서 연설을 했다. IFA 넥스트는 미래 혁신기술을 소개하는 주요 코너다. 우리나라 연구자가 누구보다 앞서 미래를 지배할 기술 트렌드를 밝히게 된 셈이다.
주제는 '초저지연 광액세스'였다. 5G 이동통신, 이를 넘어선 '비욘드 5G'의 발달도 유선 인프라 없이는 어렵다는 내용이었다. 정 박사는 초저지연 망으로 통신의 역할과 기능 확대를 촉진하고 보다 원활한 이용 환경을 제시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통신기술이 눈부시게 발전을 거듭하면서 단순히 해당 기술에 그칠 것이 아니라 기반인프라 기술에도 주목해야한다는 공감대가 전 세계에 형성되고 있다”며 “한동안 어려움이 있었지만 그동안의 연구가 인정을 받게 돼 기쁘다”고 소회를 밝혔다.
정 박사는 이전부터 관련 분야에 이름 높은 연구자였다. 대학 시절 텍스트 기반 '월드와이드웹'에 감동받아 '언젠가 사진과 영상도 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힘을 보태야겠다'고 결심한지 20여년이다. 광액세스 분야에는 10년간 몸 담았다.
다만 시대가 엄혹했다. 1990년대 말 시작한 광통신 열풍은 2002년 '버블'로 판명나면서 꺼지기 시작했고, 최근까지 침체가 이어졌다. “광통신은 끝났다”는 말이 연구계와 업계에 떠돌고 수많은 선후배가 반도체 분야와 같은 유망 분야로 떠났다. 그러나 정 박사는 포기하지 않았다.
그는 “하고 싶은 사람은 방법을 찾고 하기 싫은 사람은 핑계를 찾는다는 말을 상당히 좋아한다”며 “인프라 분야는 언제든 주목받을 수밖에 없으니 현 세태에 휘둘리지 말자고 다짐했다”고 말했다.
정 박사는 이후 도시 간 장거리 광액세스 기술, 광 스위칭 시스템, 광회선 분배 스위치, 100기가급 광 송수신기를 개발하는 등 연구계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최근에는 영상이 중심이 된 통신환경에 맞춰 관련 분야가 살아나면서 IFA에서도 소개한 초저지연 기술 개발에 역점을 두고 있다.
앞으로의 꿈은 힘들게 버텨낸 관련 분야 기업의 성장을 돕는 일이다.
정 박사는 “한동안의 암흑기를 거치면서 광통신 분야 기업이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며 “새로운 기술 개발에 앞장서 도움을 주고 싶다”고 말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
-
김영준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