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가 '기술개발제품 시범구매' 규모를 2000억원으로 대폭 늘린다. 지난해 268억원에서 8배 가량 목표를 높여 잡았다. 새로운 기술개발제품·혁신 제품 도입에 따른 공공기관 감사 부담을 줄여 원활한 판로 개척을 돕는다. 올해부터는 기관 평가에 시범구매 실적을 반영, 적극적인 참여를 촉진할 계획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30일 2019년 기술개발제품 시범구매 지원계획을 공고하고 제도에 참여할 중소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판로지원법에 따른 우선구매 대상 기술개발제품 등을 보유한 중소기업이 대상이다.
정부는 정책기조인 혁신성장과 국정과제인 창업기업 성장촉진 달성을 위해 지난해 처음으로 시범구매제도를 도입했다. 기존 납품 실적이 없는 중소기업이라도 보다 쉽게 공공기관에 납품할 수 있다. 중기부가 전문가로 구성된 심의위원회를 통해 공공기관 구매의사결정을 대행함으로써 기술개발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개별 기관이 겪는 감사 부담을 줄였다.
지난해 12월 기준 60개 기관이 참여, 268억원 규모 시범구매가 이뤄졌다. 판로 개척 등 성과가 확인되고 많은 공공기관·중소기업이 참여 의사를 보임에 따라 올해는 2000억원 이상으로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다.
중기부는 이를 위해 판로지원법 개정 등 시범구매 제도 법적근거를 마련하고 시범구매 실적의 공공기관 평가 반영 등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미 행정안정부 지방자치단체 평가에 시범구매 실적이 포함됐다. 기획재정부 공공기관 평가와 정부혁신 평가에도 올해 초 평가항목에 반영 예정이다. 1월 기준 제도 참여 공공기관도 303개로 5배 늘었다.
시범구매 참여로 인한 공공기관 감사 부담을 완전히 해소하기 위해 시범구매제도를 감사자제 대상으로 지정하는 방안 역시 감사원과 협의 진행 예정이다.
아울러 시범구매 제품이 민간·해외 시장 진출로 혁신성장을 달성할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을 실시, 히트 혁신제품으로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시범구매제도 참여 중소기업이 제품 우수성을 보다 쉽게 알릴 수 있도록 선정제품에 대한 증명서 발급도 병행 추진한다.
이희정 중기부 판로정책과장은 “시범구매제도 도입으로 혁신제품 판로 개척 환경과 중소기업 혁신성장 가능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시범구매 규모를 기술개발제품 구매 규모의 10% 수준으로 지속 확대하고 성장 잠재력 있는 제품에 대해서는 맞춤형 지원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중기부는 이날 기업 내부 사내벤처팀을 발굴·육성하는 100억원 규모 '사내벤처 육성 프로그램' 확대·운영 계획도 발표했다. 운영기업 풀을 60개사로 확대하고 대기업 동반성장지수 가점(2접) 부여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방침이다. 지원대상도 분사창업기업(분사 후 3년 이내)까지 확대했다.
정부 자금 최대 1억원과 기업 자금을 매칭, 사업화자금을 지원한다. 분사창업기업 연구개발(R&D) 연계 시에는 최대 4억원까지 R&D 자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기술개발제품 시범구매제도 추진 일정
박정은기자 je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