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LG전자 로봇에 통합 플랫폼 'xDM' 싣는다

네이버와 LG전자가 로봇 산업에서 손을 잡는다.

네이버가 보유한 고정밀 위치·이동 통합 기술 플랫폼 'xDM'을 LG전자 로봇 제품에 적용한다.

네이버랩스와 LG전자는 30일 성남시에 위치한 네이버랩스 본사에서 공동 연구개발(R&D) 양해각서(MOU)를 교환했다.

이번 MOU는 이달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9에서 양사가 논의된 내용을 구체화 했다. LG전자와 네이버랩스는 CES 2019에서 양사 전시 부스를 서로 방문, 협업 방안을 모색했다.

양사는 우선 네이버랩스 'xDM' 플랫폼 적용을 위한 공동 R&D를 한다. 성능 향상과 최적화를 위한 사업 수행, 수집된 데이터 활용 방법을 함께 모색한다.

xDM은 네이버랩스가 지도 구축, 측위, 내비게이션 분야에서 축적한 고차원 기술과 고정밀 데이터가 내장된 위치·이동 통합 기술 플랫폼이다.

실제 공간에서 실시간 이동 정보 파악, 정밀한 위치 인식, 3차원 고정밀 지도 구축, 자동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로보틱스, 자율주행, 길 안내 등 다채로운 서비스와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

가격이 저렴한 센서와 낮은 프로세싱 파워를 활용, 정밀한 실내 자율주행을 구현할 수 있다. 네이버랩스는 LG전자 로봇이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xDM을 한층 더 정교하게 발전시킨다.

LG전자는 xDM을 활용, 보유하고 있는 로봇 기능 효율과 정밀함을 극대화한다.

LG전자는 가정용 로봇, 안내 로봇, 청소 로봇, 웨어러블 로봇, 산업용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서 로봇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오픈 이노베이션 관점에서 경쟁력을 갖춘 기업과 다양한 영역에서 전략적으로 협력할 계획이다.

노진서 LG전자 로봇사업센터장(전무)은 “LG전자가 로봇을 개발하며 축적해 온 인공지능(AI), 자율주행 등 핵심 기술을 네이버랩스 강점인 소프트웨어(SW) 플랫폼과 융합시켜 고객들에게 차별화한 가치를 제공하는 로봇을 개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석상옥 네이버랩스 헤드는 “CES에서 협의한 내용을 구체화시킨 이번 MOU를 통해 양사가 새로운 기술 혁신을 이뤄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LG전자와 함께 기술과 일상생활의 거리를 좁혀 로봇 기술이 좀 더 널리 쓰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30일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네이버랩스 본사에서 진행된 네이버랩스와 LG전자의 MOU 체결식. 네이버랩스 석상옥 헤드(오른쪽)와 노진서 LG전자 로봇사업센터장이 협약서에 서명 후 들어 보이고 있다. 사진=네이버 제공
30일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네이버랩스 본사에서 진행된 네이버랩스와 LG전자의 MOU 체결식. 네이버랩스 석상옥 헤드(오른쪽)와 노진서 LG전자 로봇사업센터장이 협약서에 서명 후 들어 보이고 있다. 사진=네이버 제공

김시소 게임/인터넷 전문기자 siso@etnews.com,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