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한적으로 의사-환자 간 원격진료를 허용하는 것은 환영할 만한 일입니다. 5G기술, 맞춤형 의료 패러다임 등 원격진료 기반 디지털헬스케어가 성장할 동력이 마련된 상황에서 단계적으로 확장할 논의가 필요합니다.”
송승재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장은 산업 논리에 매몰돼 정부 원격진료 정책을 무조건 비판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강조했다. 십수년간 논쟁에 머물렀던 의사-환자 간 원격진료가 의료사각지대에 국한하지만 첫 발을 내디뎠다는 것은 의미가 있다.
송 회장은 “도서·벽지, 원양어선, 군부대 등은 의료 접근성이 제한돼 기본적인 의료 서비스조차 받기 어려웠던 곳”이라면서 “단순히 산업적으로만 접근할게 아니라 국민 입장에서 의료 서비스 진입장벽이 낮아졌다는 점은 굉장히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우여곡절 끝에 의사-환자 간 원격진료 첫 발을 디뎠지만, 이후가 더 중요하다. 최근 헬스케어 시장은 정보통신기술(ICT)을 바탕으로 한 디지털 헬스케어가 주목 받는다. 개인 신체정보와 진료정보, 생활습관 정보까지 분석해 맞춤형 건강관리·치료법까지 제시한다. 이 과정에서 솔루션을 제시하는 채널이 원격진료다.
세계 최초로 구현한 5G 시대도 원격진료와 같은 디지털 헬스케어 발전에 큰 모멘텀이다. 연결성이 혁신적으로 개선되면서 우리가 가진 세계 수준 ICT와 의료 서비스를 접목하면 국민 건강은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선두권을 노릴 수 있다.
송 회장은 “5G 시대는 기존 블루투스나 제한적 인터넷을 넘어 연결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전환점”이라면서 “그동안 스마트폰 등 IT 기기 사용에 어려움을 겪은 소외층은 물론 원격 솔루션 기능 개선에도 도움을 줘 우리가 성장할 가능성은 높인다”고 강조했다.
성장 기회가 늘면서 우리 정부, 기업도 준비가 필요하다. 제한적으로 원격진료가 시작됐는데, 이후를 준비할 큰 그림을 마련해야 한다.
그는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의사-환자 간 원격진료는 단기간 또는 한 번에 전면 허용으로 가는 것은 많은 부작용을 내포한다”면서 “이제 시작하는 원격진료를 바탕으로 점진적으로 확대할 전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대면진료 원칙을 고수하는 의사·시민단체는 여전히 이번 정부 방침에 비판 목소리를 높인다. 이들을 설득하기 위해서는 의료 자원 배분, 안전성 검증 등이 필요하다. 동시에 보건의료 분야 글로벌 패러다임인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응하고, 산업을 육성할 전략도 마련해야 한다.
송 회장은 “의료 수준이 낮은 북한이나 제3세계 등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원격진료,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를 지원해 산업을 육성하고 사회적 합의를 위한 시간을 줘야한다”면서 “인도주의적 지원 과정에서 다양한 데이터를 축적해 안전성 우려를 해소하는 설득 작업도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용철 의료/바이오 전문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