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 암세포는 특정 물질을 분비해 면역세포 분포를 변화시키면서 스스로 생존에 필요한 환경을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원장 서창석)은 정두현 병리과 교수팀이 비소세포 폐암 환자 80명의 암 조직을 이용해 암면역 미세환경을 분석한 결과를 9일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폐 암세포는 인터루킨-23을 분비해 선천성 림프구 세포 아형 분포 변화를 유도한다. 증가된 아형 선천성 림프구 세포는 인터루킨-17을 분비해 종양 성장을 촉진했다.
폐암은 유병률이 높고 예후가 좋지 않은 종양이다. 최근 면역요법이 폐암 환자 생존을 높여 암 면역 연구가 활발하다. 종양 내에는 암세포와 면역세포 상호작용이 종양 생존에 영향을 준다. 종양 미세 환경 이해가 면역치료법 개발에 필수다.
연구팀은 비소세포 폐암 암 세포가 분비하는 인터루킨-23이 종양 내에 존재하는 선천성 림프구 세포의 아형1을 아형3으로 변화시키고, 증가된 아형3에서 분비하는 인터루킨-17이 폐암 세포 성장을 촉진함을 밝혔다.
생쥐 종양 모델에서도 같은 현상을 확인해 실제 체내에서 발생하는 것을 증명했다. 폐암에서 인터루킨-23, 선천성 림프구 세포 아형3, 인터루킨-17이 종양의 새로운 생존 전략 매커니즘으로 작용하는 셈이다.
정두현 교수는 “이번 연구로 암세포와 면역세포 간 상호작용이 폐암 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냈다”면서 “폐암 환자 치료 새로운 타깃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임상 암 연구' 최신호 온라인에 발표됐다.
정용철 의료/바이오 전문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