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준영 LG디스플레이 선행연구담당.](https://img.etnews.com/photonews/1906/1195271_20190613145705_349_0001.jpg)
LG디스플레이가 차세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폼팩터를 '롤러블'로 삼고 TV에 이어 자동차, 태블릿, 커머셜, 투명 등으로 시장을 확장한다. 올해 롤러블 OLED TV가 출시되는 원년인 만큼 롤러블 기술 완성도를 높이면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앱)으로 확대하는 연구개발(R&D)에 힘을 싣는다.
양준영 LG디스플레이 선행연구담당은 13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포스코타워에서 열리고 있는 '제2회 전자신문 테크위크' 콘퍼런스에서 “올해 롤러블 TV 출시를 앞두고 서서히 롤러블 시장이 열리기 시작할 것”이라면서 “이미 시장에서 자동차, 태블릿, 커머셜 등 다양한 영역에서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하려는 시도가 시작됐으며, LG디스플레이도 새로운 응용 분야를 위해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LG디스플레이는 자유롭게 디자인이 가능하면서 고화질 영상을 구현하는 OLED 강점을 극대화할 분야로 롤러블을 꼽았다. 65인치보다 큰 롤러블 TV는 물론 새로운 응용 분야로 적용하기 위해 R&D되고 있다.
LG전자는 올해 LG디스플레이가 개발한 65인치 롤러블 OLED를 적용한 TV를 생산할 예정이다. 중국 BOE는 개인 단말용 롤러블 디스플레이 시제품을 지난 SID 디스플레이위크에서 공개했다.
양 담당은 “추후 77인치 롤러블 OLED 개발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는 크기가 커질수록 말았다가 폈을 때 디스플레이가 깨끗하게 평면 상태로 복원되도록 구현하는 게 어려워진다. 현재 배면발광(보텀 에미션) 방식으로 롤러블을 구현했지만 추후 전면발광(톱 에미션) 방식으로 전환, 발광 효율성과 설계 구조 단순화 등을 실현하는 것도 숙제다.
글라스 대신 투명 폴리이미드(PI)를 기판으로 적용하는 데 따른 여러 기술 난제도 개선해야 한다. PI가 열에 약하고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색이 변하는 특성 때문에 대면적에 적용하기 위해 재료 협력사와 긴밀한 협업 끝에 상용화 수준을 구현했지만 개선이 더 필요하다.
LG디스플레이는 롤러블 OLED가 강점을 발휘할 수 있는 분야로 TV 외에 자동차, 개인용 디바이스, 커머셜 분야를 꼽았다.
양 담당은 “자동차 선루프를 활용해 디스플레이를 말았다가 펴는 콘셉트 등 새로운 롤러블 응용 아이디어가 시장에서 많이 나오고 있다”면서 “커머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대면적 롤러블이 사용될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내다봤다.
자동차에 롤러블을 적용하려면 해결해야 할 숙제가 많다. 자동차 환경 특성상 일반 소비자나 산업용 제품과 달리 극한 저온 및 고온, 진동, 먼지 등에서도 안정감 있게 동작해야 하기 때문이다.
양 담당은 “작은 크기의 롤러블 디스플레이 수요도 계속 발생하고 있다”면서 “단기간에 실현하기는 어렵겠지만 다양한 사용 환경을 감안, 언제 어디서든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 12일 개막한 제2회 전자신문 테크위크는 첫날 반도체, 13일 디스플레이에 이어 마지막 날인 14일 배터리/전자부품 세션이 이어진다.
배옥진 디스플레이 전문기자 witho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