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용인시에 설립하려했던 제2데이터센터(IDC)사업을 백지화했다. 주민 반대가 결정타였다. 2017년 설립 의지를 밝힌 이 후에 1년 가까이 설득에 나섰지만 결국 철회하기로 최종 결론지었다. 일부 주민은 IDC가 위해시설이라며 진작부터 반대 목소리를 높였다. 찬성과 중립 의견도 많았지만 반대 입장을 가진 주민이 조직적으로 움직이면서 센터 설립은 무위로 돌아갔다. 반대하는 주민들은 송전탑과 센터 자체에서 전자파가 발생하며 디젤 발전기와 냉각수 처리로 오염 물질이 배출된다고 우려했다. 네이버는 다른 지역 IDC센터를 비롯해 최근 강원지역에 건립한 사례를 근거로 친환경 시설임을 강조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반대 주민 입장을 우리 지역에서는 무조건 안 된다는 식의 '님비 현상'으로 폄하하고 싶지는 않다. 건강을 위협하는 혐오시설이 들어선다면 누구라도 반대하는 게 상식이다. 더구나 예전과 달리 환경권, 재산권, 인권과 같은 기본 권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정책 입안 과정에서 당사자가 목소리를 내는 것도 당연히 누려야 할 권리다.
문제는 과연 IDC가 주민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지 여부다. IDC는 원전이나 산업폐기물 처리와 같은 잠재적인 위험성을 가진 시설이 아니다. 컴퓨터·서버와 같은 전산장비가 대규모로 운집해 있는 첨단 시설이다. 어느 기업이나 있는 전산실을 외부로 옮겨 놓은 것이다. 센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는 법에서 정한 기준치 보다 낮으며 오염 폐수는 발생하기 힘든 구조다. 송전탑은 설치하지 않고 매설할 계획이었다. 앞서 건립한 네이버 강원 데이터센터는 오히려 지역 명물로 떠올랐다. 만약 위해 시설이라면 네이버 이미지에도 치명적인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데이터센터 시장은 인공지능과 클라우드 서비스와 맞물려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주도권을 잡기 위해 국내외 기업이 치열하게 경쟁하는 상황이다. 패권 경쟁에서 밀린다면 영원히 후발주자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 경쟁력을 확보하는 게 해당 기업만의 문제일 수 없다. 네이버 용인부지 철회가 자칫 나쁜 선례로 남지 않을까 걱정된다.